
경북 울진군이 원자력발전소에 의존한 경제구조를 벗어나기 위해 자구책 미련에 나섰다.
울진은 정부의 일방적 에너지 전환정책으로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중단되면서 세수 감소 등으로 지역 경제가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울진군에 따르면 원전 관련 지방세는 2017년 724억2000만원, 2018년 559억4000만원, 지난해는 614억원에 이른다. 군 전체 세 수입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6기에 이르는 한울원전 가동이 중단되면 세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한울 1호기는 2027년, 2호기는 2028년, 3호기 2037년, 4호기는 2038년 설계수명이 끝난다.
신한울 1·2호기 가동 지연과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도 세수 확보에 걸림돌이다.
이에 군은 원전 의존형 경제구조를 극복하고 자립적 경제회생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나섰다.
지난 10일에는 ‘2020년 원전 의존형 경제구조 극복 원년의 해’ 선포식과 군민 대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군은 미래 신산업 육성, 치유·힐링관광 완성, 스포츠·레저산업 구축을 3대 핵심전략으로 제시했다.
또 군민들의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적극 수렴해 미래 발전계획수립에 반영하기로 했다.
미래 신산업으로 국립해양과학 교육관 건립, 후포 국제마리나항 조성 등 해양과학산업 클러스터를 만들어 해양자원 활용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해양치유시범 센터 조성, 산림치유센터 개장, 백암온천 숲 체험장 및 치유의 숲 조성사업 등으로 해양치유·숲치유·온천치유를 결합한 힐링·치유개념의 새로운 관광패턴으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2021년을 울진 방문의 해로 선포하고 해양레포츠·산악레포츠·동계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사계절 스포츠 인프라를 구축한다.
전찬걸 군수는 “군민과 함께 미래 울진을 설계해 변화하는 울진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울진=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