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공조 부각하며 한·미 이간질 나선 日언론

Է:2019-12-24 14:53
ϱ
ũ

“홍콩은 중국 내정·北 제재 완화 암묵 합의” 보도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를 한 후 회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일본 언론이 24일 국제 현안을 둘러싼 한·중 정상의 공조 가능성을 적극 부각하며 한·미 양국 이간질에 나섰다.

요미우리신문은 전날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베이징 정상회담 소식을 전하며 한중 관계 개선의 움직임이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두 정상의 만남은 중국 청두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이뤄졌다.

요미우리는 최근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북 제재 완화 결의안을 제출한 일을 거론하며 “중국이 한국에 동의를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점심 오찬을 포함해 약 2시간 15분 동안 이어진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북한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시 주석은 회담에서 “중국과 한국은 한반도 문제에서 입장과 이익이 겹친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요미우리는 “동맹국인 미국이 대북 제재를 유지하겠다는 자세이기 때문에 한국이 대놓고 (제재 완화) 결의안에 찬성할 수는 없다”면서도 “한국이 중국과 대북 제재 해제 필요성에 대해 암묵적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대북 정책의 진전을 모색하는 문재인정권으로서는 대북 제재 해제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있다는 주장이다.

요미우리는 복수의 한미일 소식통을 인용해 “문재인정권은 미국의 동의 없이 남북경제협력 사업인 금강산관광의 재개와 독자적인 대북 제재 해제 조치를 시행하는 일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향후 제재 완화를 지지하는 한·중·러와 제재 유지를 주장하는 미·일의 3대2 구도로 동북아 질서가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와 주한미군 주둔 비용 문제로 한미 관계에 틈이 벌어진 상황에서 중국이 한국을 자신들 쪽으로 끌어당기려 한다는 분석을 실었다.

일본 언론들은 홍콩 시위·신장 위구르족 문제에 대해 문 대통령이 “중국의 내정문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는 중국 측 보도도 청와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인용했다. 중국 측 보도를 따르며 문 대통령의 해당 발언을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홍콩과 위구르 문제는 ‘일국양제’(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 원칙을 고수하는 중국 정부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안이다.

닛케이는 아베 신조 총리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홍콩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고, 위구르족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투명성 있는 설명’을 압박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문 대통령의 발언과 비교하며 양국 정상의 대응이 “대조적”이라고 평가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