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의 43%가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와 서울여성가족재단이 지난 15~27일 서울에 사는 여성 36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응답자는 1581명인 43%였다. 이 중 직접 피해자는 530명으로 14%였다. 연령별 피해 경험은 20~30대가 가장 높았다.
직접 피해 유형은 ‘원치 않는 음란물 수신’이 48%로 가장 많았고, ‘원치 않는 성적 대화 요구’(38%), ‘특정 신체 부위 사진 전송 요구’(30%), ‘특정 신체 부위 노출 요구’(26%), ‘성적 모멸감이 느껴지는 신체 촬영’(20%), ‘성적 행위가 찍힌 영상 및 사진 무단 유포’(17%)가 뒤를 이었다.
직·간접 피해에 대한 신고 등 대응을 한 응답자는 7.4%에 그쳤다. 특히 직접 피해자의 66.6%(353명)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무대응 이유로 ‘처벌의 불확실성’(4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번거로운 대응 절차(37%)’, ‘대응 반응 모름’(35%), ‘피해 사실이 알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31%) 순이었다.
디지털 성범죄 발생 원인으로는 ‘약한 처벌’이라는 답변이 76%로 압도적 1위였다.

앞서 시민 모니터링단은 지난 10월 말부터 5주간 12개 사이트를 점검한 결과, 2506건의 디지털 성범죄를 신고했다. 유형은 ‘불법 촬영물 유통 공유’가 1256건인 34%로 가장 많았다. 서울시는 ‘길거리’와 같은 일상 단어를 검색해도 일반인 불법 촬영물이 쉽게 나왔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성범죄 예방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서울지방경찰청, 서울시교육청,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한국대학성평등상담소협의회와 함께 ‘온 서울 세이프(On Seoul Safe)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아울러 시는 시교육청과 함께 전문강사 40명을 양성해 초·중학생 5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성범죄 예방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김영철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