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도 인근 해역에서 추락한 소방헬기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실종자 1명의 시신이 5일 발견됐다.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은 이날 0시30분쯤 해군 청해진함 무인잠수정을 이용해 수중 수색 중 동체 인양 위치와 같은 위치에서 실종자 시신 1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수색 당국은 오전 2시40분부터 실종자 인양을 시도했으나 청해진함의 ‘자동함정 위치 유지 장치’의 신호불안정으로 작업 간 안전을 고려, 작업을 일시 중단했다.
이 시신은 지난 3일 오후 2시4분쯤 추락 헬기 동체 인양 과정에서 유실된 실종자 시신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시 수색 당국은 동체 내 실종자가 있던 기체 주위에 유실 방지 그물망을 이중으로 설치, 인양했으나 기체 일부와 내부 장비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함께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해경 관계자는 “실종자 시신 1구를 무인잠수정 수색 중 발견했으며, 잠수 작업을 재개해 실종자를 이날 중 인양·수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수색 당국이 지난 2일 동체에서 각 110m와 150m 떨어진 사고 해역에서 발견, 수습한 남성 시신 2구의 신원은 이종후(39) 부기장과 서정용(45) 정비실장으로 확인됐다.
수색 당국은 실종자들의 수습을 마친 뒤 블랙박스가 담겨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헬기 꼬리 부분을 인양할 예정이다. 당국은 지난 4일 동해지방해양경찰청에서 진행한 현장설명회에서 블랙박스가 들어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헬기 꼬리 부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꼬리 부분은 동체로부터 114m, 수심 74m 지점에서 발견됐다. 수색 당국은 꼬리 부분의 손상이 심하지 않은 만큼 이 장치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블랙박스는 사고 원인을 밝혀줄 핵심 단서가 될 전망이다. 블랙박스 분석을 통해 이륙 후 헬기 조종사가 본부와 교신했거나 교신을 시도한 내용, 기체의 이상 징후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수색 당국은 실종자 수색작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고 엿새째인 5일 수색 당국은 함선 20척과 항공기 6대 등을 사고 해역에 투입해 해상수색에 나섰다. 독도경비대원과 드론 3대 등은 독도 인근 해안가를 중심으로 수색을 진행 중이다.
동해=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