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 농가에서 마지막 발생일을 기준으로 최대 잠복기를 넘기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그러나 다음 달부터 유력한 감염 경로로 지목된 야생멧돼지가 번식기에 들어가면서 이동성이 높아지면서 방역 당국은 포획에 집중할 예정이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돼지 사육 농장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이달 9일 경기도 연천 확진 사례가 마지막이다.
통상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잠복기를 4∼19일로 보기 때문에 이날로 국내 1∼14차 발생 모두 잠복기가 지난 셈이다.
이에 따라 양돈 농장에서의 질병 발생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되고 있다.
그러나 당국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접경 지역에만 수만 마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야생멧돼지다.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상황 점검회의에서 “야생멧돼지 발생이 민통선 인근에 한정돼 있고, 멧돼지 번식기인 11월부터는 이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정부는 상황 변화와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긴급 대책을 전날 발표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이날부터 완충 지역인 고양·양주·동두천·포천·화천에서 총기 포획을 하고, 동서를 잇는 광역 울타리를 설치한다.
이 차관은 “환경부·산림청 합동 발생지역 멧돼지 폐사체 정밀 수색이 이날부터 시작된다”며 “수색팀은 폐사체 발견 시 신속히 폐사체를 처리하고, 주변 소독과 잔존물 처리를 철저히 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멧돼지 이동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그간 총기포획이 금지됐던 완충 지역의 5개 시·군(포천, 양주, 동두천, 고양, 화천)의 총기포획을 다음 달 7일부터 추진할 예정이다.
이홍근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