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강원도의 주요 현안에 대해 줄줄이 제동을 걸어 지역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설악산 오색케이블카를 부동의한데 이어 상수원 규제를 해소해 달라는 횡성군의 요청에는 또 다른 규제를 제안해 도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횡성군과 원주상수원보호구역 주민피해대책위원회, 횡성군 각급단체협의회, 횡성군의회 등은 8일 횡성군청에서 대책회의를 하고 원주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대해 취수장 이전을 제시한 환경부에 대한 투쟁방법을 논의한다. 이들 단체는 이날 회의에서 오는 10일 양양에서 열리는 ‘환경부 규탄 범강원도민 궐기대회’에 동참할지, 환경부를 찾아가 집회를 열지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횡성지역 52개 마을은 1987년 원주시 소초면 장양리에 지방상수도 취수장이 생기면서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여 30여 년째 지역발전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이에 횡성군과 주민들은 장양리 취수장을 상류 지역인 횡성댐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환경부는 지난 4일 강원도와 원주시, 횡성군 등이 참석한 회의에서 “원주 장양리 취수장을 대신할 시설을 횡성댐 하류 5㎞ 지점 대관대천에 만들자”는 입장을 내놨다. 환경부의 제안대로 사업이 추진되면 횡성 묵계리 일대 규제가 풀리는 대신 횡성 갑천면 8개 마을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다시 묶인다. 횡성군 관계자는 “환경부가 내놓은 대책은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괴는’ 식의 해괴한 논리”라면서 “규제를 풀어달라는 요청에 또 다른 규제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또 화천군에 소득형 산촌주택단지를 조성하려던 강원도의 계획에도 제동을 걸었다. 도는 지난 6월 화천 소득형 산촌주택단지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원주지방환경청에 제출했다. 이 사업은 도가 2016년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추진해 온 역점사업이다. 화천 광덕리 일원에 5만2000㎡ 규모의 귀농·귀촌인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단지를 조성하고 임산물을 활용한 소득창출 시설을 지원해 정착을 돕는 사업이다. 그러나 환경부는 최근 생태환경 교란·훼손과 난개발이 우려된다는 등의 이유로 부동의 결정을 내렸다.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무산된 양양에선 10일 ‘환경부 규탄 범강원도민 궐기대회’가 열린다. 최근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대한 부동의 결정을 내린 환경부를 규탄하는 자리다. 궐기대회에는 양양지역 주민은 물론 강원도와 도내 18개 시·군 관계자 등이 참가한다. 또한 평창·영월·정선·횡성·홍천 주민으로 구성된 강원도 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도 함께 참가할 예정이다. 이 단체는 오색케이블카는 불허하면서도 수도권에 전기를 보내기 위해 강원도에 230기의 송전탑을 건설하려고 하는 정부를 막기 위해 지난달 출범한 단체다.
횡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