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명 중인 티베트인들이 달라이 라마의 후계자 선정방식을 관습대로 유지하며, 중국의 개입은 거부한다고 선언했다. 자치령인 홍콩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반중국 시위로 확산돼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구인 티베트에서도 중국 정부의 개입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전면 등장한 것이다.
티베트선 등 현지 매체는 5일(현지시간) 티베트 망명 정부와 의회가 소집한 특별총회에서 참석자 350명이 사흘 간의 토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중국 개입 거부 선언문을 채택했다고 보도했다. 인도 다람살라에서 열린 이번 총회에는 인도·네팔에 사는 티베트인들을 포함해 미국, 유럽, 대만 등 세계 20여개국에 사는 티베트인 지도자와 활동가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선언문을 통해 “티베트인들이 존재하는 한 달라이 라마는 계속돼야 한다”며 “후계자 결정 권한은 전적으로 달라이 라마에게 있으며 그 어떤 정부나 조직, 개인도 개입할 수 없다”고 밝혔다. 윤회·환생을 믿는 티베트 불교는 종교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의 사후 그가 환생한 소년을 찾아 후계자로 삼는 전통을 수백 년간 유지해왔다. 후계자 선정은 전임 달라이 라마가 자신이 입적하기 전 환생할 장소를 예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뤄진다. 고승들은 예시의 내용을 바탕으로 후대 달라이 라마가 될 아이를 찾고, 선택된 아이는 지도자 자질을 갖추기 위한 교육을 받은 뒤 18세가 되면 정식 즉위한다.
현 지도자인 14대 달라이 라마는 1950년 중국의 침공으로 티베트가 주권을 잃자 1959년 독립을 요구하며 봉기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인도로 탈출해 다람살라에 망명정부를 세웠고 60년간 비폭력 독립운동을 이어왔다. 중국 정부 입장에서는 눈엣가시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들어 중국 정부가 자신들에게 84세로 고령인 현 달라이 라마의 후계자를 지명·승인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하며 후계자 선임에 직접 개입할 의사를 드러내 이번 총회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몰렸다.
총회에 참석한 티베트청년회의 곤포돈둡 의장은 “티베트인들이 단결해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중국 정부에 보냈다는 것에 만족한다”며 “차기 달라이 라마 선정에 중국의 어떤 간섭도 정당성을 갖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