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언론이 지난 2일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을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관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발사 현장엔 불참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원은 2019년 10월2일 오전 조선 동해 원산만 수역에서 새 형의 잠수함탄도탄 ‘북극성-3형’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또 “새 형의 탄도탄 시험발사는 고각 발사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통신은 “이번에 진행한 새 형의 잠수함탄도탄 ‘북극성-3형’ 시험발사의 성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외부세력의 위협을 억제하고 나라의 자위적 군사력을 더한층 강화하는 데서 새로운 국면을 개척한 중대한 성과”라고 주장했다.
다만 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를 대표해 시험발사에 참가한 국방과학연구 단위들에 뜨겁고 열렬한 축하를 보내시었다”고만 밝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도 국방과학원이 전날 오전 동해 원산만 수역에서 “새 형의 잠수함탄도 ‘북극성-3’ 형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새 형의 탄도탄시험발사는 고각발사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신문은 또 “시험발사를 통해 새로 설계된 탄도탄의 핵심전술기술적지표들이 과학기술적으로 확증됐으며 시험발사는 주변 국가들의 안전에 사소한 부정적영향도 주지 않았다”며 “현지에서 시험발사를 지도한 당 및 국방과학연구부문 간부들은 성공적인 시험발사결과를 당중앙위원회에 보고했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를 대표해 시험발사에 참가한 국방과학연구원단위들에 뜨겁고 열렬한 축하를 보내시었다”고 한 신문은 “시험발사의 성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외부세력의 위협을 억제하고 나라의 자위적 군사력을 더한층 강화하는 데서 새로운 국면을 개척한 중대한 성과로 된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2017년 8월 존재를 알린 ‘북극성-3형’을 시험발사 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당시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의 국방과학원 시찰 사진을 통해 ‘북극성-3형’이라고 적힌 설명판을 공개했었다. 앞서 군 당국은 2일 오전 7시11분 북한이 강원도 원산 북동쪽 해상에서 동쪽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며 “북극성 계열로 추정된다”고 밝혔었다. 이 미사일의 최대 비행고도는 910여㎞, 거리는 약 450㎞로 탐지됐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