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가 내년 올림픽·패럴림픽 때 욱일기를 허용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과 관련해 일본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도쿄신문은 6일 ‘희미해지는 옛 일본군의 기억’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욱일기 문제가 한·일간 새로운 불씨가 되고 있다”면서 “욱일기가 아시아에서는 ‘침략의 상징’으로 보여진다는 점에서 평화의 제전인 올림픽과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욱일기는 메이지 시대(1868∼1912년) 초기에 군기로 정해져 2차대전(태평양 전쟁) 패전 때까지 사용됐다. 일본 근대사 전문가인 야마다 아키라 메이지대 교수는 “해군 군함기로 게양된 것 외에 육군 연대기로서 (적군) 제압 후 입성 행진 때 내걸리거나 최전선에서 점령의 표시가 되거나 했다”고 전쟁 중 욱일기 사용 행태를 설명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욱일기가 일본군 탄압의 상징”이라면서 “일본에서는 한반도 식민지 지배의 기억이 희미해졌기 때문에 욱일기를 둘러싼 역사 인식에도 차이가 있다”고 욱일기를 대하는 한·일 양국의 태도가 다른 이유를 분석했다.
앞서 조직위는 “일본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깃발을 게시하는 것 자체가 정치적 선전이 되는 것은 아니다”며 욱일기를 금하지 않는 이유를 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 관방장관도 “욱일기를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보는 시각을 부인하려는 듯 자위대기 뿐만 아니라 풍어를 알리는 깃발이나 출산·명절 축하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도쿄신문은 욱일기가 정치적 선전이나 제국주의의 상징이 아니라는 설명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학자들의 비판을 소개했다. 아케도 다카히로 도쿄대 대학원 특임교수(사회학)는 “욱일기를 단순히 아침 해를 표현한 깃발로서 널리 받아들인다는 것은 속임수”라며 “현실을 보면 자위대나 혐오 시위, 우익 선전차에 등장하는 것이 좁은 의미의 욱일기”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욱일기가 ‘헤이트 스피치’ 시위에서 일장기보다 험악한 분위기를 보여주는 강력한 아이콘이 된 현실 등을 거론했다.
아케도 교수는 “욱일기에 침략의 역사, 내셔널리즘 등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며 “경기장에서 이를 허용하는 것은 한국 선수와 관객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2017년에는 한국에서 열린 수원 삼성과 가와사키 프론탈레(일본)의 경기 때 일본 팬이 욱일기를 걸었다가 관중들이 항의하는 소동이 벌어졌고 결국 아시아 축구연맹(AFC)이 벌금 등의 처분을 내렸다.
이치노세 도시야 사이타마대 교수(일본 근대사)는 “욱일기는 강하게 마음을 움직이는 그 디자인 때문에 전후 자위대에 계승된 한편 타국으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됐다”며 “일본 측이 아무리 널리 사용된다고 설명해도 국제적으로는 일본 팽창주의를 보여주는 것이다. 평화의 축전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