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수 인사들이 최성해 동양대 총장에게 전화를 걸어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판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5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유 작가님, 간 참 크네요”라며 “이런 예민한 시기에 의심 살 수밖에 없는 행동을 과감히 하셨다”고 비꼬았다.
그는 이어 “유튜브 운영자로서 취재했다”는 유 이사장의 주장도 “궁색한 변명이다. 스스로 사이비 기자를 자처하시는 걸 보니 많이 당황하셨다”며 “기자 사칭하면서 협박하는 사람들이 들통날 때 보이는 전형적인 반응이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설령 진짜 취재 목적이었다면 메모나 녹음이 있을 것이다. 그걸 공개하시면 결백함이 입증될 수도 있다”며 메모와 녹취파일 공개를 요구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유시민씨가 ‘취재차’ 동양대 총장과 통화를 해서 이것저것 물어보셨다네. 총장이 퍽이나 취재라고 느꼈겠다”며 “압력을 넣은 또 다른 여당 의원의 이름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는군. 급했네, 급했어”라고 비꼬았다.
앞서 동아일보는 “여권 핵심인사 A씨와 여당 의원 B씨가 전날 최 총장에게 ‘조 후보자를 낙마 위기에서 살리자’는 취지의 전화를 걸었다”고 보도했다. 최 총장에게 전화를 건 인물은 유 이사장과 김 의원으로 밝혀졌다.
유 이사장은 이날 오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최 총장과 통화한 적이 있다. 제 기억엔 어제 점심 때쯤이었던 것 같다”며 “그러나 (조 후보자를 도와달라는) 제안을 한 적이 없다. 사실관계에 관한 취재를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경위를 확인하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면서 “도와달라는 말은 잘 못한다”고 말했다.
박준규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