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대전시가 주최한 안전·성평등 공모전에서 학교 내 성차별 실태와 관련된 의견이 다수 접수됨에 따라 시와 대전시교육청이 개선에 나섰다.
대전시는 지난 5월15일부터 6월14일까지 안전·성평등 관련 정책 아이디어 공모를 실시, 성평등 관련 개선 의견 66건 중 학내 성평등 개선 의견을 16건 접수했다고 7일 밝혔다.
접수된 학교 내 성차별 관련 개선의견은 남녀 구분 없는 교복 착용, 학생들의 번호부여 방식 변경, 성차별 교훈·급훈 변경, 아동 성평등 교육실시, 여학생 화장실 비상생리대 지원 등이 꼽혔다.
이중 제안이 가장 많았던 사항은 여학생들의 교복 개선에 대한 문제였다.
현재 각 학교별 교복 착용 규정은 학생 의견수렴·디자인 공모, 학교운영위원회 개최 등의 절차를 거쳐 결정되는 학교 자율사항이다.
그러나 최근 교복을 생활복으로 바꾸거나 교복을 성별에 따라 나누지 말자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수차례 올라오는 등 교복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실정이다.
실제로 해외 일부 국가에서는 남자는 스커트를, 여자는 바지를 골라 입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후드티셔츠·반팔티셔츠 등 편한 복장으로 교복을 개선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다.
시 관계자는 “대전지역 학교가 아직 보수적인 성격이 강하다”며 “시교육청과 협의해 학교별 의견 수렴 및 개선을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학생을 여학생보다 우선시하는 학교 출석번호 부여방식에 대한 개선의견도 있었다.
지난 2005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성별을 기준으로 한 출석번호 부여방식을 차별 행위로 판단, 각 지역 교육청에 지속적으로 개선을 권고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학교가 관행적으로 남학생에게 앞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접수된 개선의견에는 이밖에 ‘참된 어머니가 되자’ ‘정숙’ ‘순결’ 등 성차별적 요소가 들어있는 교훈(급훈)을 개선해 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시와 시교육청은 이미 시행 중인 아동 눈높이 성교육 및 여학생 비상생리대 지원 등의 개선 의견은 예산을 수립해 보다 구체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교복개선과 학생번호 부여방식, 성차별 교훈 변경 등은 학교 재량에 맡겨져 있는 만큼 각 급 학교에 별도의 협조공문을 보내 개선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초등학교 4학년 대상 양성평등교육의 경우 향후 현장지원단 운영·민간전문기관 활용 등의 방법을 모색하기로 했다.
김경희 대전시 성인지정책담당관은 “제안된 개선사항에 대해 교육청과 함께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학생들이 평등한 교육환경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내실있는 성인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