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도 나섰다…KAIST, 일본 경제보복 관련 원천기술 자문단 구성

Է:2019-08-05 10:28
ϱ
ũ

국내 기업 핵심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 지원


일본 정부가 지난 2일 우리나라를 ‘화이트 리스트’ 대상국에서 제외하는 등 경제보복 조치를 연이어 단행함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국내기업들의 핵심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 지원에 나섰다.

KAIST는 지난 주말 신성철 총장 등 주요 보직교수들이 참여한 가운데 비상 간부회의를 개최하고 반도체·에너지·자동차 등 주요 분야 업체들의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IST Advisors on Materials & Parts, KAMP)’의 설치를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5일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한 자문단은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되는 1194개 품목 중 주요 159개 품목과 관계된 중견·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 및 자문을 담당한다.

자문단은 자문단장 1명과 기술분과장 5명, 명예교수와 현직교수 등 100여 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됐다.

단장은 최성율 현 공과대학 부학장이 맡았다. 5개 기술분과와 팀장은 ‘첨단소재분과’에 이혁모 신소재공학과장, ‘화학·생물분과’에 이영민 화학과장, ‘화공·장비분과’는 이재우 생명화학공학과장, ‘전자·컴퓨터분과’ 문재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장, ‘기계·항공분과’에는 이두용 기계공학과장 등 관련 분야 학과장 교수가 각각 담당한다.

여기에 각 분과마다 해당 분야의 명예교수·현직교수 등 전현직 교수가 20여 명씩 참여하며 총 100여 명 규모로 자문단이 구성될 예정이다.

각 기술분과는 기술자문 요청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20여 명의 자문위원을 중심으로 담당 교수를 지정한다. 자문위원들은 기업지원 현황과 문제해결 결과 등에 대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기술자문을 희망하는 중견·중소기업은 기술자문 전담접수처로 문의하거나 이메일로 상담을 신청하면 된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전담접수처를 운영하고, 접수 즉시 각 분과 팀장이 자문위원 중 담당 교수를 지정한다”며 “어려움을 겪는 기술에 대한 진단 및 기업현황 분석 등의 과정을 밀착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KAIST 산학협력단 등 관련 조직과의 유기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반도체·친환경 자동차·에너지 저장장치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기술독립국으로서의 지위를 얻도록 하겠다”며 “혁신성장을 가속화 할 수 있도록 KAIST가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