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의 대표 복지 사업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가 서울 전역에 적용된다. 복지 사각지대 문제를 노출한 ‘송파 세 모녀 비극’이 벌어진 지 5년 만이다.
서울시는 오는 18일 강남구를 끝으로 서울 전역에 찾동이 적용된다고 17일 밝혔다. 찾동은 서울 시내 동 단위 주민생활을 지원하는 행정 서비스다. 공무원이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곳을 직접 발굴하고 주민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2015년 7월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며 찾동을 개시했다. 13개 구 80개 동에서부터 매년 단계별로 적용 범위를 늘려왔다.
서울시는 찾동 개시 약 4년 만에 마지막 퍼즐을 맞췄다. 아직 찾동이 적용 안 된 유일한 지역인 강남구 16개 동에 총 74명의 복지플래너(사회복지직 공무원)와 16명의 방문간호사(간호직 공무원)를 배치한다. 앞서 강남구는 지난해 총 22개 동 중 6개 동에서만 찾동 시범운영에 돌입했다. 지난해 서울 전역의 찾동 인원은 총 2788명(복지 2219명, 방문간호사 489명, 마을사업전문가 80명)에 이른다.
찾동의 탄생은 2014년 2월 송파구에 살던 세 모녀가 생활고로 목숨을 끊은 ‘송파 세 모녀 사건’이 계기가 됐다. 당시 지하 셋방에서 살던 세 모녀는 질병을 앓고 있는 데다 수입도 없었다. 이들은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 70만원, ‘죄송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번개탄을 피워 스스로 숨졌다. 국가와 자치단체가 구축한 어떤 사회보장체계도 이들을 돕지 못했다.
서울시는 지난 4년 동안 찾동 기반을 다지는 데 주력했다. 동 주민센터 평균 인력을 16명에서 22명까지 늘렸다. 기존 2개팀(행정1 복지1)을 3개팀(행정1 복지2 또는 행정1 마을1 복지1)으로 개편하는 등 조직체계도 정비했다. 이어 주민들과 접촉을 늘리는 일에 집중했다. 현장방문은 기존보다 2.7배 증가(57회→152회)했고 사각지대 지원도 3.5배 증가(월 31회→109회)했다. 돌봄 위기 가구 발굴 횟수도 498건에서 지난해 3182건까지 올랐다.
서울시는 찾동이 ‘공공 문제에 대한 주민 참여 활성화’라는 부가효과도 내고 있다고 평가한다. 복지 활동을 하는 주민조직이 1440개 2만5593명, 마을 활동 주민 소모임이 2072건 1만4095명까지 늘었다는 것이다. 찾동 기반 다지기를 마친 서울시는 앞으로 이같은 ‘주민 참여’ 부분을 집중 강화할 계획이다.
먼저 이웃끼리 골목에서 만나 얘기하는 ‘찾아가는 골목회의’ 개최를 지원한다. 어려운 시민을 발견하면 동주민센터에 연락하는 ‘시민 찾동이’ 활동을 활성화한다. 돌봄서비스인 ‘돌봄 SOS 센터’를 운영하고 갑작스런 위기를 지원하는 긴급복지제도를 강화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