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버트 뮬러 특검의 러시아 스캔들 수사를 배후 지휘해 온 로드 로즌스타인 법무부 부장관이 끝내 사임했다. 뮬러 특검 수사가 종결된 지 한 달여 만이다. 그동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끊임없이 마찰을 빚는 그를 둘러싸고 끊임없이 사임설이 제기됐었다.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29일(현지시간) 사임 서한에서 자신이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 가치들에 헌신하고 있는 관리들로 법무부를 채우는 데 일조했다”며 “우리는 항상 미국을 가장 최우선으로 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슬로건인 ‘미국을 위대하게’와 ‘미국 우선주의’를 염두에 둔 문장이다.
사임 서한 내용과는 정반대로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임기 내내 트럼프 대통령과 충돌했다. 그는 2017년 5월 뮬러를 러시아 스캔들 특검에 임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16년 대선에서 러시아와 공모했는지 가려내기 위한 특검이었다.
제프 세션스 법무부 장관이 이 수사에 관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부장관인 로즌스타인이 대신 내린 결정이었다. 백악관에는 특검 임명 사실을 발표 30분 전에 전화로 알렸다. 최근 공개된 뮬러 특검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내 대통령직도 끝났다”며 크게 좌절했다.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박탈을 논의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그가 2017년 5월 트럼프 대통령의 부적절한 발언을 폭로해 수정헌법 25조에 따라 대통령 직무수행 불능 판단을 끌어내려 했다는 것이다.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지난해 9월 뉴욕타임스 보도로 의혹이 제기되자 사의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그의 행위를 “불법적이고 반역적”이라며 비난하면서도 해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로즌스타인 부장관은 정작 뮬러 특검 수사 마무리 단계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패막이가 됐다. 그는 지난달 윌리엄 바 법무장관과 특검 수사보고서를 함께 검토한 후 트럼프 대통령의 혐의를 입증하기 불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뮬러 특검을 탄생시킨 그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면죄부를 주는 역설적 상황이 연출됐다. 민주당은 법무부 판단에 여전히 불복하고 있지만 로즌스타인 부장관마저 물러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부담이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스캔들 수사 부담을 던 트럼프 대통령은 2020년 대선으로 고개를 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트위터에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향해 “바이든은 펜실베이니아가 역대 최저 실업률과 철강산업의 번성으로 경제적으로 최고의 해를 보내고 있으며 위대한 미래가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고 썼다. 바이든 전 부통령이 2016년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피츠버그를 첫 유세지로 택한 것에 대한 조롱이다.
바이든 전 부통령도 “트럼프는 미국 전체를 대표하지 않기로 한 유일한 대통령”이라며 “우리는 모든 미국인을 위해 일할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맞받았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