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모 대학 교수가 ‘개인적인 성폭력 경험을 적어내라’는 강의 과제를 요구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17일 광주에 있는 대학교 커뮤니티에는 대학교에서 교양과목 ‘여성과 사회’를 가르치는 A교수가 학생들에게 내준 과제가 부적절하다는 주장의 글이 올라왔다. A교수는 여성이다.
이 과목을 수강하고 있다는 한 학생은 자신이 가르치는 대학교수가 ‘자신이 겪은 성폭력의 정의’를 주제로 리포트를 쓰라고 했다며 “과제라는 강제성 속에 끔찍한 기억을 되짚어야 했다”라고 전했다.
공개된 사진에 따르면, 과제 제목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성폭력에 대해 정의하시오’라고 적혀있다. 내용에는 “성폭행, 성희롱, 성추행 등 대학 생활을 하며 겪은 여러 유형의 성폭력이 있을 것이다. 그중 자신이 겪은 성희롱을 중심으로 성폭력의 정의를 내려보라”라며 “단순 서술보다는 문제점과 예방책까지 곁들이면 더 좋을 것이다. 여러분들이 제출한 자료는 학내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예정(비밀보장)”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과제는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 퍼지면서 비난의 댓글이 이어졌다. 네티즌들은 “과제의 의도를 모르겠다” “이런 과제는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로 이어지는 것”이라며 입을 모았다.
논란이 이어지자 학교 측은 하루 만에 과제를 삭제했다. 학교 관계자는 “문제를 파악했고 교무처, 학사운영팀, 정치외교학과장이 긴급하게 모여 회의를 했다”며 “곧 진상조사와 함께 학생들과 면담을 해서 학생들이 받아들이지 못할 때 징계나 해임 등의 조치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해당 교수는 학교에서 ‘여성’을 주제로 사회의 편견을 비롯해 노동·정치 문제 관련 강의를 맡은 시간강사”라고 덧붙였다.
A교수는 “대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겪을 수 있는 성희롱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라며 “이런 과제는 2년 전부터 내왔는데 그동안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오히려 이런 문제들을 함께 이야기하고 싶었는데, 자리가 마련되어 좋았다고 하는 학생도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본의와 다르게 상처받은 학생들에게 미안하게 생각한다. 학생들하고 얘기를 나누고, 대학의 조사에도 성실히 응해 입장을 설명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에서는 “논문 등을 작성할 때도 사례를 수집해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은 당연한 일” “설문조사를 통해 진상을 파악하는 것이 왜 나쁘냐”라는 옹호론도 나왔다.
김도현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