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원자력해체연구소를 중수로·경수로 두 곳으로 분리해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면서 경북 경주지역의 반발이 거세다.
경주 시민들과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월성원전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타지역 방출 등을 요구하며 정부의 원전 정책에 반발하고 있다.
17일 경주시를 지역구로 둔 경북도의회 최병준, 배진석, 박승직, 박차양 의원은 “적합성과 타당성을 무시하고 내린 정부의 이번 결정에 유감을 표한다”며 “이번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발표에 대해 납득할 만한 근거를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경주 지역에 들어설 예정인 중수로 원전해체연구소를 타지역과 동등한 수준으로 설립하고, 방사성폐기물 안전 관리 대책도 마련하라”고 강조했다.
지난 16일에는 경주시의회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경주시민을 우롱한 정부의 발표에 분노한다”며 “경주시민 86%가 서명하는 등 전력을 다했지만, 정치적 노름에 물거품이 됐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윤병길 의장은 “경주는 설계-건설-운영-해체-폐기 전 과정이 집적된 인프라를 갖춰 원해연 설립 최적지로 평가됐다”면서 “하지만 정부는 지역갈등을 조장하는 결정을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원해연 경수로·중수로 연구소 분리결정 취소와 방폐장 특별법으로 2016년까지 사용후핵연료를 타지역으로 방출하기로 한 약속을 즉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자유한국당 소속 김석기 국회의원도 문재인 정권의 PK 표밭 다지기에 따른 정치적 결과라고 반발했다.
지역 시민단체들도 방폐장 폐기물반입 저지 등 실력행사를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경주시 원전범시민대책위원회도 성명서를 내고 원해연 부지 선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제시와 다른 지역과 동등한 수준의 사업 계획을 비롯해 방사성폐기물의 안전 관리대책을 요구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