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조합원들이 근로기준법 개정을 반대하며 국회 진입을 시도하다 경찰과 충돌해 김명환 위원장 등 20명 가까운 조합원이 현장에서 연행됐다. 현직 민주노총 위원장이 집회 현장에서 연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주노총 등 53개 진보단체가 모인 민중공동행동은 3일 오후 1시 국회 앞에서 ‘민주노총 노동법개악 저지투쟁 지지·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가 노동자를 빈곤과 죽음으로 내모는 최저임금제와 탄력근로제 개악, 대기업재벌과 경총이 노동3권을 제한하라 요구한 청부입법까지 수용하는 노동법 개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리쳤다.

이날 오전 10시45분경 김 위원장과 최준식 공공운수노조 위원장, 신승민 금속노조 수석부위원장 등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 소위를 참관하기 위해 국회 진입을 시도하다 경찰에 체포됐다. 민주노총 회원 200여 명이 집회를 벌이던 중 분위기가 격해지면서 국회 담장을 넘어뜨리거나 뛰어넘으면서 소란이 빚어졌다. 경찰은 건조물 침입 등 혐의로 김 위원장을 비롯한 간부들을 현장에서 무더기로 체포했다.

김 위원장은 서대문 경찰서로 이송돼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역대 정부를 통틀어 민주노총 현직 위원장이 집회 와중에 연행되기는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기준 현재까지 연행된 민주노총 조합원 등은 19명이지만, 경찰과 대치가 계속되면서 연행자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날 박행덕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은 “위원장을 비롯한 동지들을 연행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사과하고 바로잡아야 한다”며 “빠른 시간 안에 석방해 돌아올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날에도 김학용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한 민주노총 간부 8명이 연행됐다.

김 위원장의 부재로 4일 예정된 민주노총 대의원대회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와 대화를 단절한 민주노총이 투쟁 강도를 더욱 높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경찰이 김 위원장의 신병을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은 긴급체포 이후 48시간으로 5일 오전 10시45분까지다. 따라서 대의원대회가 예정된 4일 오후 2시까지 김 위원장이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면 김경자 수석부위원장이 대신 임시대의원대회를 진행한다.
이날 대의원대회에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 문제를 제외한 올해 사업계획이 안건으로 상정된다. 다만, 현장에서 경사노위 참여 안건이 수정안 형태로 상정될 것이란 관측이 있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현장에서 연행된 지금, 조합원 반발이 극심한 상태로 경사노위 참여 안건 논의보다 투쟁 수위를 높이자는 주장이 강해질 것이라고 민주노총 관계자들은 내다봤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뉴시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