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신혼부부, 절반은 ‘집’ 때문에 대출했다

Է:2019-03-24 09:36
:2019-03-24 10:30
ϱ
ũ

젊을수록 대출 비율과 액수가 커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결혼한 청년세대 10명 중 5명은 신혼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는 억대의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빚과 함께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추세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미혼 남·여는 정부가 추진해야 할 결혼 관련 정책 1순위로 ‘신혼집 마련 지원’을 꼽았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내놓은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14∼2018년 결혼한 청년세대 부부의 50.2%는 결혼 당시 신혼집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았다.

조사는 보사연이 2014∼2018년 결혼한 여성 1357명, 2009∼2013년 결혼한 여성 2106명, 2004∼2008년 결혼한 여성 1866명, 1999∼2003년 결혼한 여성 1716명, 1998년 이전에 결혼한 여성 2083명 등 세대별 9128명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부모세대(98년 이전 결혼)보다 늦게 결혼하는 청년세대일수록 신혼집을 마련하기 위해 본인이나 남편 명의로 대출받는 비율이 높았다. 연령대별 신혼집 마련을 위해 대출받는 경우를 살펴보면, 98년 이전 결혼한 여성은 대출 비율이 16.0%에 불과했다. 하지만 1999∼2003년 결혼한 여성의 대출비율은 22.9%, 2004∼2008년 결혼한 여성의 대출비율은 28.6%였고 2009∼2013년 결혼한 여성의 대출비율은 36.2%였다. 그런데 청년세대(2014∼2018년 결혼)로 오면 대출비율이 50.2%로 치솟았다.

보사연은 이를 “우리나라 주거비 부담이 계속해서 증가한 탓”이라고 분석했다.

대출액수도 청년세대로 갈수록 커졌고 1억원 이상의 고액대출 비율도 증가했다. 98년 이전에 결혼한 부모세대는 1억원 이상 대출받은 경우가 1%에 미치지 못했지만 청년세대는 37.7%나 됐다. 청년세대의 경우 2억원 이상 대출받은 비율도 3%나 됐다.

미혼 남·여는 가장 필요한 정부의 결혼 정책으로 ‘신혼집 마련 지원’을 1순위에 올렸다. 보사연이 20~44세 미혼남성 612명과 미혼여성 5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미혼남성 38.8%, 미혼여성 28.1%는 결혼에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신혼집 마련 지원’이라고 응답했다.

미혼남성은 신혼집 대책 다음으로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비정규직 문제 해소 등 ‘청년 고용 안정화’(24.8%) 대책을 꼽았고, 미혼여성은 ‘결혼으로 인한 직장 내 불이익 개선’(26.8%)이라고 답했다.

보사연 측은 “주거 부담은 청년세대가 결혼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주거 부담은) 결혼 이후에도 대출로 인한 이자 납부와 대출상환 등으로 부부의 삶을 짓누르고 출산을 가로막는 지속적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