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이 국내 금융시장에 끼친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이 단기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1일 오전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 주재로 ‘긴급 관계기관 합동점검반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회의에는 기재부를 포함해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 28일 회담 결렬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증시가 급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 보였다. 코스피는 전일 대비 약 1.76% 하락했고, 원·달러 환율은 1124.7원(0.5%)까지 올랐다. 역외시장 원·달러 환율도 0.9원 소폭 상승하는 한편 국가부도 위험도를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5년물)은 1일 오전 7시 기준 29bp에서 30bp로 1bp 올랐다. 2007년 4월 16일 이후 약 12년 만이다.
정부는 미·중 무역협상, 영국의 EU 탈퇴(Brexit·브렉시트) 등 국제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인 만큼 회담 결과가 변동성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기재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이번 회담 결과가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정부와 관계기관은 합동 점검반을 통해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유지하고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는 등 신속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4일 이호승 기재부 1차관 주재로 ‘제63차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북·미 정상회담의 시장 영향 및 전망을 논의키로 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