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한국당 일부 의원들의 5·18 민주화 운동 폄하로 논란이 증폭되자 한국당이 진화에 나섰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11일 “개인적으로 5·18 북한군 개입설을 믿지 않는다. 당의 입장도 믿지 않는다는 입장”이라며 “그래서 긴 시간을 두고 지만원을 추천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원들도 일제히 “무장한 군인들이 무고한 국민을 적으로 간주해 살상한 것은 역사의 죄를 지은 행위”라며 선을 그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비대위회의에서 “당이 해체 위기에 내몰렸다가 이제 서서히 지지율이 회복 중이다. 중환자실 환자가 산소호흡기 떼고 일반 병실로 옮겼는데, 다시 경계심이 약화되면서 국민 정서에 반하는 언행이 고개를 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당에 대한 국민 정서, 당의 이미지를 의원들이 먼저 생각해서 처리했으면 좋겠다”며 “여러 가지로 여러운 시점에 당에 부담을 주는 행위는 안 했으면 좋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논란의 발언은) 당내에 있는 소수 의견이다. 사법적 판단과 다른 의견이 우리 사회에 있을 수 있다”면서도 “그런 소수 의견은 당론이 될 수 없고 당의 기본적 입장이 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병길 비대위원도 “국민의 생명을 지켜야 할 군인들이 국민의 생명을 살상한 것은 어떤 경우라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확인되지 않은 북한 개입설로 국민 살상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은 희생자를 두 번 죽이는 일이며 한국당은 결코 이런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의문은 가질 수 있으나, 5·18의 역사적 근본적 의의가 의심받아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홍철호 의원도 “일부 의원들의 의견이 마치 우리 전체 의견인 것처럼 보도되고 있는데, 전체 의견이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동학혁명의 뿌리가 살아있는 호남의 저항정신과 자긍심에 상처를 냈다”며 “남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함께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앞서 이종명 의원은 5·18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한 지만원씨, 김진태 의원과 ‘5·18 진상규명 대국민공청회’를 공동으로 주최하고 “폭동이 민주화운동으로 변질됐다”, “당시 희생된 군의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는 등 논란의 발언을 쏟아낸 바 있다. 김순례 원내대변인도 공청회에 참석해 “종북좌파들이 판을 치면서 5·18 유공자란 이상한 괴물집단을 만들어내 우리 세금을 축내고 있다”며 “국민의 피땀 어린 혈세를 갖고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는 5·18 유공자를 색출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한편 논란이 계속되자 김진태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작년에 여야 합의로 제정된 5·18진상규명법에 '북한군 개입 여부'를 진상규명하도록 돼 있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며 “공청회 참석자들의 발언은 주관적인 것이고, 향후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것이다. '진짜유공자'분들에게 상처를 주려는 의도는 아니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김 의원은 “국민 혈세가 들어갔으므로 우리는 알 권리가 있다”며 “이번에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