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 북·미 정상회담이 2월 말 개최로 합의됐지만 구체적인 날짜와 장소는 발표돼지 않았다. 정상회담의 하드웨어적 부분에서 협의할 부분이 남았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 간 이견이 여전해 정상회담 개최에 완전한 합의엔 도달하지 못했다는 시각도 있다.
세라 샌더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만난 직후 2차 북·미 정상회담이 ”2월 말쯤(near the end of February) 개최될 것"이라고 밝혔다.
샌더스 대변인 발표엔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엔 관한 언급은 없었다. 역사적인 2차 북·미 정상회담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도 볼 수 있다.
북·미 간 물밑접촉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난해 10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이후 공식적인 북·미 간 접촉이 없었던 상황을 감안하면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 장소, 형식 등에 완전히 협의하기엔 시간이 촉박했을 가능성도 있다. 고위급회담 이후 이어질 북·미 추가 접촉에서 합의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김 부위원장을 만나고, 고위급회담도 열렸지만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이견이 여전, 정상회담 개최에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쇼맨십이 강한 트럼프 대통령이 호재인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트위터 등을 통해 직접 발표하지 않은 부분도 눈여겨 봐야 한다. 완전히 개최에 합의했다면 자신의 공을 항상 과시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를 직접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번 김 부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까지 트위터에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19일 “정상회담 일정과 장소에 대해 협의는 했지만 합의는 안 됐다고 보는 게 맞는 거 같다”며 “비핵화 조치와 상응조치에 대해 여전히 북·미 간에 차이가 계속 있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차이가 결국 극복이 안 됐을 것이다. 어느 정도 선에서 합의 가능성이 있다면 2차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당연히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부위원장을 만났음에도 북·미 간 이견만 확인했을 가능성이 상당하다 것이다.

앞서 김 부위원장이 베이징에 모습을 드러내고 워싱턴으로 향했음에도 미국 측은 ‘로키’로 대응하며, 공식적 확인을 폼페이오 장관을 만나기 직전인 2시간여 전에야 했다.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6월 초 이루어진 김 부위원장의 방미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박 교수는 “미 정부가 김 부위원장의 방미에 적극적인 반응이 없었다”며 “비핵화 관련 합의가 잘 됐고 진전이 있었다면 나름대로 폼페이오 국무장관에겐 충분히 셀링 포인트가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적극 이벤트화 했을텐데 이번엔 합의가 안 됐기 때문에 소극적으로 반응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일자, 장소 등 조금 더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내려면 스웨덴에서 만날 것으로 보이는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간 실무회담이 성과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비건 특별대표와 최 부상이 스웨덴 만남 이후에도 지속적인 접촉을 보인다면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는 물론 비핵화와 관련한 성과도 기대할 수 있어 보인다.

또 의전, 경호 등을 책임지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집사 역할을 하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의 행보도 눈여겨 봐야한다. 김 부장이 움직이면서 세부 사항을 조율한다면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가 눈앞에 다가왔다는 의미기 때문이다. 김 부장은 지난해 1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5월 말부터 분주하게 싱가포르를 다녀오며 회담을 준비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