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 루비 반지가 7200만원, 미국서 나치 유물 판매 두고 시끌

Է:2018-12-29 05:00
ϱ
ũ

유대인 단체 “히틀러 미화와 반유대주의 부추길 뿐”

나치 독재자 아돌프 히틀러의 개인 물품 등 나치 관련 유물의 거래를 두고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고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극우 세력이 나치 유물을 구입해 반(反)유대주의 상징물로 악용할 수 있어 상업 거래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알렉산더 파나고풀로스는 메릴랜드주에서 ‘알렉산더 히스토리컬 옥션’을 운영하며 대량의 나치 관련 물품을 판매했다. 강제수용소 의사로서 학살 대상 유대인을 선별한 요제프 멩겔레의 일기는 30만 달러(약 3억3500만원), 히틀러가 방공호 안에서 사용하던 전화기는 24만3000달러(약 2억7100만원), 루비 16개가 박힌 히틀러의 반지는 6만5000달러(약 7200만원)에 팔렸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에서 유대인 혐오와 백인 우월주의가 기승을 부리면서 나치 물품 거래도 논란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지난해 버지니아주 샬러츠빌 폭동 당시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남북전쟁 당시 노예제를 지지했던 남부연합의 깃발과 함께 나치 상징물을 들고 폭력시위를 벌여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나치 유물 거래는 흔한 일은 아니다. 세계 양대 경매회사인 크리스티와 소더비는 물론, 인터넷 쇼핑몰 이베이, 소셜미디어 업체 페이스북도 나치 물품 판매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이달 초 한 남성이 하켄크로이츠가 새겨진 완장과 철모, 각종 나치 관련 휘장 등 유물 70여개를 판매하겠다고 페이스북에 올렸다가 거센 비난을 받았다.

그럼에도 나치 유물 거래 시장은 더욱 활기를 띠는 분위기다. 미국 내 나치 유물 대부분은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전쟁터에서 개인적으로 취득해 갖고 온 것들이다. 참전용사들이 고령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고인이 보관해오던 나치 유물을 유가족들이 내다 파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대인 단체 대부분은 이런 현상을 탐탁지 않게 보고 있다. 이스라엘 야드바솀 홀로코스트 기념관의 기록물 관리 책임자 하임 게르트너는 “히틀러의 개인 유품은 보존할 가치가 있다. 반유대주의 역사를 기억하기 위해 유물을 보존해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이 유물을 소지한다면 더할 나위가 없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경매에서 값을 가장 높게 부르는 사람에게 유물을 넘기는 건 올바르지도 않고 비도덕적이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미국 유대인 인권단체 시몬 비젠탈 센터 창립자인 랍비 마빈 히어는 “히틀러 유물과 일부 나치당 관련 문서는 보존할 가치가 있다. 특히 해당 유물이 나치의 야만 행위와 관련이 있을 경우가 그렇다”면서 “하지만 미군이 독일에서 빼돌린 나치 기념품들 대부분은 독재자 히틀러와 관련한 허황된 신화와 반유대주의를 부추길 뿐”이라고 지적했다.

파나고풀로스에 따르면 나치 유물을 구입해간 사람 대부분은 유대인들이다. 임상 심리학자로 일하다 은퇴한 74세 노인 마이클 벌매시는 지난 20년 동안 나치 유물을 수집해왔으며 소장품 상당수는 파나고풀로스에게서 구입했다. 입수한 유물은 모두 그의 모교인 오하이오주 케년 칼리지에 기부했다.

역시 유대인인 68세 하워드 코헨은 나치 독일이 만든 반유대주의 선전물을 수집하고 있다. 이 중에는 유대인을 매부리코로 희화화한 그림이 그려진 2000달러(약 220만원) 상당의 재떨이도 포함돼 있다. 코헨은 수집물을 상자에 넣어 집안 창고 구석에 놓은 채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고 있다. 나치의 극단적인 사상이 유포되거나 미화되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

파나고풀로스는 “내 고객은 전부 역사광들일 뿐이다. 스킨헤드도, 백인 우월주의자도 없다”면서 “스킨헤드들은 이런 유물에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설령 그렇다고 해도 그들은 유물의 역사적 가치를 제대로 알아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네오 나치도 아니다. 내 아내는 유대인”이라면서 “내 아버지의 고향 그리스는 2차 대전 때 독일군의 침략을 받기까지 했다”고 항변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