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권양숙’ 여사에게 속아 거금을 날린 윤장현 전 광주시장의 보이스피싱 피해사건이 정치권과 지역사회에 엉뚱한 불똥을 튀기고 있다.
광주지검은 시장 재직 당시 공직자 신고재산이 7억 정도에 불과했던 윤 전 시장이 총 재산 절반이 넘는 거액을 송금하게 된 경위와 돈의 출처 등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26일 밝혔다.
검찰은 윤 전 광주시장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를 빙자한 김모(49·여)씨에게 4억5000만원을 송금한 사건과 관련해 돈의 성격과 출처를 구체적으로 규명할 방침이다.
검찰은 전남경찰청에서 송치 받은 보이스피싱 사기사건의 피해자 윤 전 시장을 상대로 돈의 출처 확인에 나섰다.
검찰은 윤 전 시장이 자택 등을 담보로 한 은행대출 서류 등을 경찰로부터 넘겨받았다. 검찰은 이 대출금의 액수와 사기 피해금이 직접 관련됐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또 윤 전 시장 외에 추가 피해자가 있는지도 조사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광주의 한 시민단체는 윤 전 시장의 입장 표명과 사과를 촉구했다.
한국투명성기구 광주전남본부는 “윤 전 시장이 6·13 지방선거 민주당의 공천을 받기가 쉽지 않아,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으로 (권양숙 여사의) 어려운 부탁을 들어주었을 것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윤 전 시장의 입장에서는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 민주성지 광주시민의 자존감을 훼손한 부끄러운 일로 시민들에게 사죄해야 한다”며 “이번 사건에 대해 한 점 의혹이 없는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단체는 또 “수사당국은 이 사건을 단순 보이스피싱으로 처리할 게 아니라, 정치권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범주의 사건으로 처리해야 한다”며 정치권을 언급했다.
윤 전 시장은 현직이던 지난해 12월부터 1월 사이에 자신을 권양숙 여사라고 속인 김씨에게 4차례에 걸쳐 4억5000만원을 보냈다가 떼인 사실이 최근 드러났다.
민주당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하던 김씨는 광주·전남지역 유력 인사 20여명의 휴대전화 번호에 이 같은 범행을 시도했다가 윤 전 시장에게만 돈을 받아 가로챈 혐의로 지난 11일 구속됐다.
‘가짜 권양숙’에게 연거푸 송금을 할 때 윤 전 시장은 현직 시장 신분으로 더불어민주당 내 공천 가능성과 재선을 저울질하고 있던 시기였다.
일자리부위원장으로 일하던 이용섭 현 광주시장 등과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던 마당에 민주당 주류인 친노-친문의 몸통이나 다름없는 권양숙 여사에게 동아줄을 대려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다.
정치권 한 인사는 “2010년 6·4 지방선거에서 예상을 깨고 전략공천을 받아 당선된 윤 전 시장은 당시 현직인 강운태 후보를 따돌리는 과정에서 ‘안철수의 남자’로 불렸다”며 “당내 지지기반이 유난히 약한 윤 전 시장이 재선 고지를 점령하려면 친노-친문의 지원이 절실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 시절이던 2010년 윤·강 두 후보는 1995년 제1회 지방선거 이후 사상 최초로 야당의 텃밭에서 양강 구도를 형성했다. 공천=당선이라는 등식이 성립하던 지역정서로 볼 때 이례적이었다.
안 전 대표의 ‘전략공천’에 힘입은 윤 전 시장은 20%이상의 압도적 표 차이로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강 후보를 누르고 민선 6기 광주시장에 무난히 당선됐다.
이 때문에 윤 전 시장이 권양숙 여사를 통해 민선7기 재선고지에 오르기 위해 이번에는 민주당 주류인 친노-친문에 줄을 대고 공천을 따내려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2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서 “대체 어떤 문화가 그들 사이에 있기에 이런 황당한 사건이 가능한 것인지 모르겠다. 언뜻 보면 보이스피싱에 낚인 광주시장 같지만 대통령의 부인을 사칭하기만 하면 4억 5천만 원 정도를 입금할 수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고 밝혔다.
한편 윤 전 시장은 광주시장 재직 중이던 지난 3월 자신의 재산을 총 6억 9480만 원이라고 신고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검찰, 가짜 권양숙에게 송금한 윤장현 전 광주시장 자금출처 규명 나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