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택배 노동자들이 22일 서울 중구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노동조합 인정과 택배 노동자 사고 대책 마련을 요구하며 이틀째 총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빠른 택배’가 아닌 ‘안전한 택배’가 이들의 슬로건이다. 김태완 택배연대노조 위원장은 “본사의 반노동자적 행태로 인해 택배 노동자들이 위험에 내몰리고 있지만 본사는 이를 개선할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며 “이제는 노동자를 쥐어짜며 죽음에 내몰리게 하는 일이 없도록 총파업에 나선다”고 말했다.

택배 파업의 가장 큰 계기는 잇따른 택배 노동자들의 사망사고다.
택배연대노조 측은 “지난 2년간 세 명의 택배 노동자가 과로사했고, 올해는 허브물류센터에서만 석 달 사이에 세 명의 노동자가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했다”면서 “지금도 택배 노동자들은 처참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학생 A씨는 올 8월 CJ대한통운 대전물류센터에서 택배 상하차 아르바이트를 하다 컨베이어벨트 작업 중 감전사했다. 같은 달 충북 옥천터미널에서는 상하차 업무를 하던 50대 하청노동자 B씨가 쓰러져 사망했다. 지난달 29일에도 대전물류센터에서 30대 직원 C씨가 택배 짐싣기 작업 후 컨테이너 문을 닫다가 후진하던 트레일러에 치여 사망한 바 있다.
택배연대노조 측은 “‘공짜노동 분류작업’으로 인해 하루 13시간에 달하는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고, 제대로 된 냉난방시설도 갖추지 못한 서브 터미널에서 겨울에는 혹한을, 여름엔 폭염과 피부병을 견뎌야 한다”고 열악한 작업환경을 호소했다.
이어 “CJ대한통운은 택배 대란을 막을 수 있는 열쇠는 자신들이 쥐고 있음을 똑똑히 알고, 지금 당장 ‘노동조합 인정, 택배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J 대한통운은 사망사고와 관련해 고용노동부에 개선책을 제출하고 근로감독을 받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CJ 대한통운 관계자는 노조와의 단체교섭과 관련해서는 “본사가 택배기사들을 직접 채용한 게 아니라 대리점이 고용한 것이기 때문에 직접계약관계가 성립이 안돼 교섭대상자가 될 수 없다”라고 밝혔다.
이신혜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