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투자유치 통한 ‘광주형 일자리’ 실현 최대 고비…광주시와 노동계 근로조건 등에 대해 막판 절충

Է:2018-10-22 14:40
ϱ
ũ
적정임금에 다양한 복지·의료 혜택을 더한 ‘광주형 일자리’ 실현이 최대 고비를 맞았다. 한 달여간 현대차 투자합작 공장 근로조건 공개여부를 두고 대척점에 서온 광주시와 노동계가 막바지 절충에 나섰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한국노총이 2차 질의한 구체적 근로조건에 대한 공문서 성격의 답변서를 발송할 방침이다. 한국노총은 지난달 8일 “시와 현대차 간 위탁 공장(합작법인) 협상과정이 불투명하고 임금수준 등의 결정에도 노동계 참여가 완전 배제됐다”며 노사민정 협의회를 탈퇴했다.

이에 따라 사회적 대타협을 전제로 한 현대차 투자유치는 물 건너 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현대차가 노동계 참여가 이뤄지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10월말’을 시한으로 통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가 끈질긴 설득작업을 벌이자 협상내용 전면공개를 요구해온 한국노총은 “현대차 투자유치는 광주시민과 노동계의 염원으로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성공시키겠다”며 복귀의사를 내비쳤다.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전남지역본부 의장은 이날 “근로조건이 충족되면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노사민정 합류 의사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16일 그동안 노동계가 의구심을 품어온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주 44시간, 초임 연봉 3500만원 보장, 주 5일 근무, 월 2회 특근, 공동복지프로그램’ 등 현대차와 협상내용을 전격 공개했다.

광주시는 현대차의 대규모 투자를 받아 빛그린산단에 광주형 일자리 실현을 위한 합작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가 지난 6월 “노사민정 공동결의를 기반으로 광주시가 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지역경제 활성화·일자리 지속 창출 사업과 관련해 여러 투자자 일원으로 투자협의를 제안한다”고 사업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게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한국노동 의견을 모두 수용할 것”이라며 “지역노동계가 합류하면 현대차도 20여년 만의 국내투자에 나서기로 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