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르면 내년부터 서울의 택시 기본요금이 4000원으로 오를 예정이라는 소식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서울시는 근로자의 최저생계비 보장과 승차거부 등 서비스 개선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실현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서울시는 택시 노사와 시민사회, 전문가로 구성된 ‘택시노사민전정 협의체’를 열고 택시 요금 인상을 확정했다. 협의체는 현재 3000원인 기본요금을 4000원으로 인상하고 심야 할증 적용시간도 기존에서 1시간 앞당겨 오후 11시부터 적용할 방침이다.
서울의 택시 기본요금은 지난 2103년 10월 2400원에서 3000원으로 오른 뒤 6년 만에 처음 인상되는 것으로 인상률은 약 33%다. 서울시가 택시 기본요금 인상을 추진한 이유는 근로자의 최저생계비를 보장하기 위해서다.
서울시 법인택시 기사의 한 달 평균 수입은 217만원으로 버스 기사보다 180만원이나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택시기사들은 회사에 내야 하는 사납금 최대 17만원을 제외하면 11시간 차를 몰아도 빈손으로 돌아가야 하는 날이 있다는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요금 인상이 기사의 처우 개선을 담보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이번 기회에 택시 서비스 품질을 확실히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온라인 곳곳에선 찬반 논쟁이 이어졌다.
“오랜 시간 동결된 만큼 오를만 하다” “버스 기사 보다 택시 기사들의 처우가 더 열악한 건 맞다” 등의 옹호 의견이 있는 반면 “요금만 인상되고 서비스 질은 개선되지 않는다” “승차 거부가 문제가 아니라 안전과 청결이 문제다” “바가지 요금, 막말과 폭언에 택시 타기 무섭다” “택시 기사 고령화 문제 먼저 해결하라” 등의 반대 의견도 있었다. 아울러 네티즌 사이에선 “내 월급 빼곤 다 오른다”는 한탄이 이어졌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