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맞댄 한·미 정상, 상응조치 숙고…개성공단·금강산 카드 물망

Է:2018-09-25 09:03
:2018-09-26 08:06
ϱ
ũ

문 대통령 취임 후 다섯번째 한·미 정상회담 개최…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방안 논의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한미 FTA 개정협정에 대한 정상 공동성명에 서명하고 있다. 뉴시스

73회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6·25전쟁 종전선언 문제와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방안을 논의했다. 양 정상은 문 대통령의 9월 평양공동선언 도출 배경과 방북 성과를 공유하고 양국 간 공조체제를 강화키로 합의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뉴욕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결과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한반도에 완전한 비핵화를 이루고, 항구적인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공조 방안과 한·미 동맹 강화 방안 등을 폭넓고 심도 있게 협의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평양에서 열린 5차 남북정상회담(문재인정부 3차) 결과를 설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환영한다”고 답했다고 김 대변인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평양선언 공동언론발표 당시 김 위원장이 육성으로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하고, 문 대통령이 평양 시민 15만명을 대상으로 비핵화 연설을 한 사실도 평가했다.

양 정상은 대북 제재를 계속하되, 북한이 비핵화를 이룰 경우 얻을 수 있는 밝은 미래를 보여줌으로써 완전한 비핵화를 지속적으로 견인하는 방안들을 계속 모색키로 했다. 이에 따라 평양선언에 포함된 개성공단 및 금강산 관광 재개 방안이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이룰 경우 새롭게 바뀐 북·미 관계 속에서 경제 발전 등 여러 가지 밝은 미래를 보장해 비핵화를 촉진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양 정상은 또 종전선언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장소, 시기를 두고 깊이 논의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청와대는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종전선언 수락 여부, 북·미 정상회담의 서울 개최 가능성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북한이 상응조치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이를 이행할지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청와대 관계자는 “그렇게 이해하면 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미국이 자동차 산업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여부를 검토하는 데 대해 한국을 제외시켜줄 것을 요구했다. 문 대통령은 중국 일본 독일 멕시코 등 대미 무역 흑자폭이 크게 늘어난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는 지난해와 올 상반기 흑자 폭이 급격히 감소한 점, 대미 수출 자동차의 51% 이상이 미국에서 생산되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말씀을 고려해 검토하라”고 배석자들에게 지시했다고 김 대변인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 정상은 정상회담 종료 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정 타결에 따른 정상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양 정상은 FTA 개정 협정이 포괄적 동맹의 공고함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가하고 조속히 발효될 수 있도록 노력키로 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다섯 번째(한·미·일 정상회의 제외) 열린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예정시간을 25분 넘긴 1시간25분간 진행됐다.

뉴욕=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