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여옥 전 의원은 21일 남북 두 정상을 사랑에 빠진 연인에 비유하며 “문재인 대통령이 눈먼 사랑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랑에 빠지면 다른 사람에겐 뻔히 보이는 문제가 보이지 않고 애틋하게만 느껴진다”며 이같이 적었다.
그는 “3대째 물려받은 유업이고 전 재산인데 여러분이라면 전 재산인 ‘집 한채’를 포기하겠는가? 어림도 없다”며 “김정은은 절대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정은이 그렇게 경제에 집중하고 싶었다면 왜 핵무기를 주민의 고혈을 짜내면서, 경제를 내동댕이쳐 가면서 끌고 왔을까”라고 반문했다.
또 “그 동안 김대중, 노무현 정부가 준 많은 당근을 결국 ‘먹튀’하지 않았나”라며 “핵무기는 가공할 수준으로 완성했고, 이제 ‘우월적 위치’에서 한 상 뻑적지근하게 받겠다는 것”이라고도 했다.
전 전 의원은 “사랑이라는 감정, 참 위험하지 않나. 사랑에는 ‘맹목’이라는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 사랑에 빠지면 눈에 뵈는 것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정은은 여전히 매우 위험한 사람이다. 위험한 사람과 사랑에 빠질수록, 조건이 나쁠수록 활활 타오르는 것이 ‘눈먼 사랑’”이라며 “(눈먼 사랑에 빠진 이는) ‘내가 저 불쌍한 사람을 지켜줘야겠다’고 굳게 다짐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저 사람은 원래 착한 사람’이라고 열변을 토한다”고 말했다.
전 전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은 공동성명에서 밝힌 ‘참관’은 ‘검증가능’이란 뜻이며 ‘영구적 핵폐기’는 ‘불가역적 폐기’라고 북한 측을 굳이 대변까지 했다”며 “북한의 15만 군중 앞에서 한 연설도 ‘6·25’부터 ‘천안함’까지 나라를 위해 숨진 호국영령 앞에서도 과연 할 수 있는 내용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국가지도자는 오로지 ‘대한민국’과 사랑에 빠져야 한다”며 “김정은과의 백두산 등정. ‘우리의 소원’이 아니라 ‘문재인 대통령의 소원’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국가 최고지도자는 ‘열정’이 아니라 ‘냉정’으로서 감지했어야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형주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