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단이 5일 방북 여정을 마무리하고 귀환했다. 특사단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 문 대통령 친서를 전달한 뒤 예정에 없던 만찬 자리까지 가진 후 14시간 만에 돌아왔다.
특사단은 단장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등 5명으로 구성됐다. 오전 7시40분쯤 공군 2호기에 올라 북으로 향했고, 오후 8시40분쯤 평양에서 출발해 오후 9시40분쯤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이들은 서울공항에서 청와대 관저로 이동해 문 대통령에게 방북 내용을 보고한다. 정 실장은 6일 오전 춘추관에서 결과를 공식 발표한다.

특사단은 오전 9시쯤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해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과 통일전선부 관계자를 만났다. 오전 9시33분쯤 평양 고려호텔 38층에 위치한 미팅룸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 위원장 간 환담을 39분간 진행했다. 김 부위원장은 20분 정도만 참석한 뒤 이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위원장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하고 이후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서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환담 자리에 리 위원장과 김 부위원장이 참석한 이유는 남측이 제시할 종전선언·비핵화 추진 로드맵과 진전된 남북관계 안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리 위원장은 지난 고위급 회담에서 남북 주요 현안을 조율하는 실무 총괄자 역할을 해왔다. 김 부위원장은 비핵화 협상을 맡아왔다.
환담 이후 특사단은 노동당 본부청사로 이동해 김 위원장을 만나 문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고 의견을 나눴다. 아직까지 정확한 협의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앞서 청와대가 밝힌 특사단 방북 목적은 ▲남북정상회담 일정 및 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등이다.

특사단은 귀환에 앞서 북측과 예정에 없던 만찬을 함께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만찬이 예정돼 있지 않았는데 한 걸 보면 (분위기가) 나쁘지 않은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전반적인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은 남측 특사에 최선의 예우를 다한 것으로 보인다. 방북 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김 위원장 면담이 성사된 점 역시 특사단이 어느 정도 성과는 거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뉴시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