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울산·경남지역 주민의 75%가 사후 자동 장기기증제도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명을 살리는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미성년자 장기기증 등록연령을 현행 만19세에서 만16세로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장기기증협회(회장 강치영)는 4일 부산시청에서 장기기증의 날 기념식 및 심포지엄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협회가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과 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유&미리서치에 의뢰해 부·울·경 주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스페인·프랑스·네들란드 등에서 운영 중인 사후 자동 장기기증제도에 대한 ‘찬성’이 75%로 조사됐다.
협회에 따르면 사후 자동 장기기증제도는 본인이 생전에 장기기증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 사후 자동으로 장기를 기증하는 제도로, 이 제도를 도입한 나라의 경우 높은 장기기증으로 많은 생명을 살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뇌사가 입법화된 지 18년이 됐지만 장기기증자와 가족 모두의 동의를 받아야 사후 장기기증이 가능한 실정이다.
강치영 회장은 이날 심포지엄의 주제발표를 통해 “스페인의 경우 40년 전 사후 자동 장기기증제도를 도입해 세계 최고의 장기기증 국가가 됐고 수많은 생명을 살리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많은 사람들이 사후 자동 장기기증제도를 찬성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온 만큼 이 제도를 공론화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서 한국장기기증협회 이사장 안민 고신대총장은 인사말을 통해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바른 인식과 법적, 제도적 개선을 통해 생명나눔운동이 부산을 중심으로 아시아를 넘어 세계 최고의 장기 및 인체조직 기증과 생명이 넘쳐나는 도시로 거듭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상준 부산시 정무특보는 축사에서 “생명나눔이 주는 감동과 그에 담긴 숭고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뜻깊은 자리를 마련한 협회에 감사하며 소중한 생명을 나눔으로써 더욱 크고 빛나는 가치를 재발견하게 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도 축사를 통해 “장기기증은 난치병 환자들에게 마지막 희망”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장기기증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극적인 실천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념식에 이어 심포지움 좌장은 장기기증 학회장인 서울대 김순은 교수가, 주제발표는 한국장기기증 협회장인 강치영 박사가 각각 맡았다.
이어 ‘대체장기를 통한 제안’을 위해 요즈마그룹 아세아 센터장 장세탁 박사가, ‘백혈병 환자를 위한 제대혈 현안’을 위해 고신대의대 혈액종양내과 이호섭 박사가,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언론의 역할’에 대해 CBS 부산방송본부 김규완 본부장의 토론이 이어졌다.
앞서 이날 오전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는 부산시청 광장에서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해 미성년자의 장기기증희망 등록연령을 만19세에서 만16세로 완화해야 한다며 서명운동에 나섰다.
운동본부에 따르면 7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장기기증 등록자는 140만9907명으로 전체 국민의 2.7%에 해당한다. 이는 미국 54%, 영국 34%에 비해서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장기기증 등록자가 저조한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불필요한 규제 때문이다.
장기기증 희망 등록 시 미성년자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는 물론 증빙서류(가족관계증명서)까지 첨부해야 하는 까다로운 절차 때문이다.
특히 장기이식법 시행규칙 제7조 1항에서 규정하는 미성년자는 민법상 만19세 미만이므로 대학 1년생의 절반이상이 자기 스스로의 판단으로 장기기증 등록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은 만13세, 일본은 만15세, 호주와 남아공은 각각 만16세 이상부터 장기기증 등록이 가능하다.
헌혈의 경우 만16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16~19세의 참여자가 100만여명 35%에 이르는 등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운동본부 관계자는 “장기기증 등록의 연령기준이 완화된다면 전국 2300여개 고교생 180만여명 가운데 최소 30%(54만명)가 매년 장기기증 등록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