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청 어린이들이 학교생활을 무리없이 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사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이과학회(회장 조양선)는 귀의 날(9월 9일)을 맞아 더불어민주당 오제세 의원, 홍익표 의원, 정의당 심상정 의원 등과 함께 31일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난청 아동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국가정책토론회를 갖고, 의료계와 난청어린이 학부모들의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사진).
학회에 따르면 전체 학령기 아동의 약 0.5%가 난청으로 학업과 교우관계 등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은 보청기 등 다양한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대부분 장애인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며 국가적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
토론회에서 이준호 서울대학교 교수는 난청 아동에 대한 외국의 사례를 소개하며, 전반적인 지원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보청기나 인공와우 유지비용이 학부모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민정 동아청각언어치료실 박사는 난청아동들이 보청기나 인공와우를 하더라도 수업의 이해가 떨어지고 학교생활 전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교실 내의 FM 시스템구축, 문자 통역 서비스 등 난청아동들에게 실제적이며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난청아동들과 학부모들도 다수 참석, 환자나 보호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생생히 전달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