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올해는 수시모집을 불과 수개월 앞두고 실시된 교육부 대학평가 결과 낙제점을 받는 절체절명의 처지에 놓였다.

그러나 ‘사후약방문’에 그쳤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제기된다.
조선대는 “강 총장 등 집행부가 2018년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결과에 책임을 진다는 의미에서 보직 사퇴서를 이사회에 제출하게 될 것”이라고 24일 밝혔다.
이 대학은 전날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 진단 발표에서 ‘자율개선대학’에 들어가지 못하고 낙제점이나 다름없는 ‘역량강화대학’ 굴레를 뒤집어썼다.
다시 말해 학생정원의 10% 수준인 430여명을 스스로 감축하지 않을 경우 교육부 재정지원을 한 푼도 받지 못해 생존권을 위협받게 됐다. 조선대는 자율개선대학 아래 단계인 역량강화대학으로 선정돼 최악의 국면은 피했지만 다음 학기부터 일부 재정지원 제한의 ‘벌칙’을 받는다.
‘막는 것 산이거든 무느곤 못가랴/파도건 눈보라건 박차 헤치자’(조선대 교가 첫 소절)
이에 따라 역대급 위기를 맞은 이 대학은 강도 높은 구조조정 등 제살깎기가 불가피해졌다.
우선 향후 3년간 10개 이상의 학과축소와 신입생 정원 감축 등 혹독한 시련을 겪어야한다. 강 총장은 교육부 발표 직후 발표한 사과문에서 “법인 이사회와 학생회, 교수평의회, 직원노조, 총동창회를 아우르는 대자협에 거취를 맡긴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로 인해 강 총장의 재임여부와 책임소재를 둘러싼 내부 구성원들의 찬반공방이 예고되고 있다. 치대교수 출신인 강 총장의 취임 이후 대자협에 소속된 각 학내 단체들은 그동안 다양한 학내문제를 둘러싼 갈등과 반목을 거듭해왔다.
대학 측은 다음 주 혁신적 대학 쇄신책을 제시하는 등 고육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하지만 ‘선장’이 빈자리가 되면 헛구호에 그칠 공산이 크다. 조선대는 감축 학생 수 만큼 등록금 수입이 줄어 당장 재정운영에 막대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강 총장은 사과문에서 “자율개선대학에 들어가지 못해 대학구성원과 시민 여러분에게 충격과 슬픔을 안겼다”며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최근 비상체제에 들어간 조선대는 대학 건전성 강화를 위해 3대 원칙에 따른 본격 구조개혁에 돌입한 상황이다. 155억 원의 재정을 감축하고 인건비 및 인력 10%를 줄이는 등 군살을 뺀다는 것이다.
대학 측은 ‘총예산대비 인건비 비율’을 현행 47.24%에서 40.56%로 낮추기로 했다. 교직원들의 수당 등을 줄여 등록금 대비 인건비 비율을 현행 70.6%에서 60% 수준으로 하향조정하는 등 혁신을 추진한다.
72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대는 광주전남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모아 설립한 국내 유일한 민립대학이다. 미군정이 유지되던 1946년 광주부윤(시장) 서민호와 총무과장 박철웅이 의기투합해 처음 닻을 올렸다.
각계각층의 지역민들이 너나없이 참여한 설립동지회가 주축이 돼 7만2000여 명에 달하는 독지가와 도민들이 십시일반 기부대열에 동참했다.
대학설립을 실무적으로 주도했다가 자의반타의반 초대총장에 오른 박철웅 전 이사장은 6․25한국전쟁 등 격변기동안 대학을 떠났다가 1963년 박정희 정권 때 대학에 화려하게 복귀한다.
이후 교수채용 비리 등 대학운영 전반에 걸쳐 전횡을 휘두르다가 1987년 총학생회 등의 학내민주화 투쟁에 밀려 대학에서 축출됐다. 관선이사 체제를 거쳐 현재는 임시 이사회가 동문․교수들이 구성한 ‘대자협’과 머리를 맞대고 학내 주요문제에 관한 의사 결정을 내리고 있다.
1946년 9월 12개 학과, 1194명으로 출범한 이 대학은 현재 재학생 2만여 명에 졸업생만 25만 명을 배출한 호남권 최대 사학으로 꼽힌다. 17개 단과대학과 10개 대학원, 치과병원, 종합병원 등을 산하에 두고 있다.
조선대는 지난해 개교 70주년을 기념해 ‘CU Again 7만2천 비전 페스티벌’을 대대적으로 개최하는 등 제2의 도약을 타진하고 세계 100대 대약으로 발돋음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교육부로부터 예상치 못한 ‘레드카드’를 받아들고 당장 생존을 걱정하는 안타까운 처지가 됐다.
호남 최대 명문사학의 전통을 이어온 이 대학의 정면돌파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