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깔깔이(방상내피), 짬찌(신병), 가라(가짜), 나라시(평탄화작업) 등 부적절한 용어가 군대서 사라진다.
국방부는 군대에서 통용되는 부적절한 언어와 어려운 행정 용어를 퇴출하는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 캠페인’을 연말까지 펼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은어, 일본식 표현, 권위적 행정 용어, 낯선 한자어 등을 다른 말이나 쉬운 용어로 바꿀 예정이다.
현재 장병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일본식 용어는 고참(선임병), 구보(달리기), 시건장치(잠금장치), 각개 점호(인원 점검), 가라(가짜), 쇼부(흥정) 등이 있다. 이외에도 특정 장비를 지칭하는 하이바(헬멧), 구땡(무전기), 딱판(인원현황판) 등의 은어도 사용되고 있다.
국방부는 병영 내에서 앞으로 이런 부적절한 용어를 퇴출하도록 각 군에 예하 부대 교육을 강화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이어 시방서(설명서), 이격거리(떨어진 거리), 입수보행(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는 것) 등의 낯선 한자어와 필히(반드시), 금번(이번) 등의 권위적인 행정 용어도 사용하지 않도록 했다.
국방부는 “전문가를 동원해 국방 분야의 언어 사용 실태를 연구하면서 올바른 국방 용어를 정립하는 방안을 세우고, 연말에는 국방 분야 공공언어 사용 지침서를 발간해 배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방부 대변인이 직접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를 운영하면서 신규 법령안에 어려운 법률 용어나 전문용어가 포함되지 않도록 심의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다음 달 3일까지 국방부 인터넷과 인트라넷(국방망)을 통해 국방 분야에 존재하는 은어를 제보받기로 했다”며 “장병과 모든 국민이 참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진민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