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정상이 올해 종전을 선언하고 남북 교류를 활성화시키기로 합의했다. 당장 8·15 광복절에 이산가족·친척 상봉 행사가 추진된다. 당국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지는 건 2015년 이후 3년 만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7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 앞마당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남북은 이번 정상회담의 3대 핵심의제로 꼽힌 한반도 비핵화,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남북관계 획기적 개선에 합의했다.
두 정상은 선언문에서 “민족적 화해와 단합의 분위기를 고조시켜 나가기 위해 각계각층의 다방면적인 협력과 교류 왕래, 접촉을 활성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온 겨레의 한결같은 소망이며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의 절박한 요구”라고 말했다.
선언문에 따르면 남북은 6·15 남북공동선언을 비롯해 남과 북에 다같이 의의가 있는 날들을 계기로 당국과 국회, 정당,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등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민족공동행사를 적극 추진한다. 또 2018 아시안게임을 비롯해 국제경기에 공동 진출하기로 했다.
이상가족 상봉도 재개된다. 두 정상은 “민족 분단으로 발생된 인도적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며, 남북적십자회담을 개최해 이산가족·친척상봉을 비롯한 제반 문제들을 협의·해결해 나가기로 했다”며 “8·15 광복절을 계기로 이산가족·친척 상봉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남북은 양측 당국자가 상주하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 지역에 설치하기로 했다. 2007년 10.4 남북정상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고 현대화하는 실천적 대책을 취해나가기로 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