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식, 라섹과 같이 레이저를 이용한 시력교정수술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작용 중 하나가 야간 빛번짐이다. 하지만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노안교정수술에서 빛번짐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크게 줄었다. 과거 빛번짐의 원인이었던 중심이탈, 각막수차, 불규칙난시가 레이저의 발달로 인해 어느 정도 해결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초점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노안교정수술에서는 누구나 느낄 수 있는 독특한 빛번짐이 기본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빛번짐은 인공수정체 자체의 구조적 특징이기 때문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기본적인 증상이다. 따라서 본인이 삽입하고자 하는 인공수정체의 빛번짐 형태와 특징에 대해 수술 전에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있어야 적응하는데 도움이 된다.
강남 조은눈안과 김준헌 원장은 “대부분의 환자는 수술 후 근거리, 원거리 시력이나 노안이 다시 재발하는지에 대해서만 관심이 있는데, 정작 수술 후에 돋보기는 벗었지만 빛번짐이나 눈부심으로 더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면서 “본인의 눈 상태나 인공수정체의 종류에 따라 빛이 번져 보이는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상담을 거친 후에 수술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초점인공수정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절방식의 인공수정체는 렌즈의 표면에 동심원의 회절격자무늬가 있다. 이로 인해 특유의 동심원 빛번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여기에 색수차까지 더해져서 빛 주위에 무지개 같은 다양한 색깔의 빛퍼짐이 동반될 수 있다. 환자 개개인이 느끼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불빛 주위의 동심원 개수를 셀 수 있을 정도로 또렷하게 보일 수 있다.
이 같은 빛번짐은 수술 초기에 야간 운전에 영향을 줄 정도로 심할 수 있지만 다행히 6개월 정도의 적응기간을 거치면서 불편함이 상당부분 줄어든다. 빛번짐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개발된 인공수정체도 있다. 최근 특수 인공수정체는 야간 동공 크기에 따라서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과 빛번짐이 자동으로 조절되기도 한다. 주간에는 근거리와 원거리의 비중을 비슷하게 유지하다가 야간이 되면 빛번짐의 원인이 되는 근거리 시력을 줄이고 원거리 시력 위주로 만들어서 야간 빛번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원리이다.
회절 방식의 인공수정체와는 달리 굴절방식의 인공수정체는 동심원의 빛번짐은 없다. 그러나 불빛 아래쪽으로 부채살과 같은 잔상이 맺히는 경우가 있다. 상대적으로 빛번짐에 대한 불편함은 적고 적응하기도 쉬워서 야간작업이 많은 경우 더 선호된다.
렌즈의 광학적인 특성과는 별도로 눈물층 때문에 생기는 빛번짐도 있고 근시, 난시, 원시와 같이 굴절이상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결국 빛이 번져 보이는 느낌이 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수술 후 사소한 빛번짐으로 과도하게 걱정하지 않으려면 수술과 무관하게 기본적인 빛번짐은 누구에게나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김 원장은 “다초점인공수정체로 인해 빛번짐이 문제가 되면 눈의 굴절 상태를 최적화하는 추가교정으로 빛 번짐을 줄일 수 있고, 과거에 라식, 라섹 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이 때에 적합한 인공수정체를 따로 써야 빛번짐을 더 잘 극복할 수 있다”라며 “따라서 다양한 렌즈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병원을 선택하고, 상담 시에도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렌즈가 선택될 수 있도록 직업, 취미, 생활환경, 눈과 관련된 모든 과거력을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