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정상회담이 2주도 채 남지 않았다. 청와대는 한반도 평화 정착의 분기점이 될 이번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총력체제로 전환했다. 회담 준비에 모든 이슈를 넘어서는 우선순위를 부여한 채 남은 12일을 보내게 된다. 당장 문재인 대통령의 움직임부터 달라졌다.
◆ 야당 대표 만나고 세월호 행사 불참
신호탄은 지난 13일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와의 전격적인 영수회담이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여야 회동에 여러 차례 불참했던 홍 대표와 ‘특별히’ 자리를 마련해 단독으로 만났다. 김기식 금감원장 문제, 개헌, 한국당이 주장하는 선거용 수사 등 여러 이슈가 테이블에 올랐지만 문 대통령이 이 자리에서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남북정상회담’이었다.
“남북정상회담에 반대하지 말아 달라”는 부탁이 대통령의 구체적인 발언으로 공개됐다. 이 말을 하기 위해 여러 껄끄러운 이슈와 논쟁거리를 무릅쓰고 야당 대표와 마주앉은 터였다. 합의문이 만들어지진 않았지만 한국당에서 나온 회담 평가 발언이 ‘그리 나쁘지 않아’ 청와대는 성과가 있었다는 자평을 내렸다고 한다.
이처럼 야당에 적극적으로 다가가는 모습과 달리 문 대통령의 외부 행보는 최소화돼가는 모양새다. 이념과 진영에 따라 시각이 엇갈릴 수 있는 일정을 가급적 줄이면서 민감한 시기에 불필요한 논쟁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15일 공개 일정 없이 정상회담 준비에 시간을 쏟으며 SNS를 통해 ‘세월호 참사 추모 메시지’를 내놨다. 16일 경기도 안산에서 열리는 세월호 희생자 정부합동 영결식에 문 대통령은 불참한다. 대신 월요일 오후마다 열리는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할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세월호 참사 4주기이고 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이자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추모식이 열리게 된다. 올해를 끝으로 정부 합동분향소는 철거된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할 것으로 예상돼 왔다. 이런 자리에 이낙연 총리가 대신 참석키로 한 것은 역시 남북정상회담과 관련돼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세월호 행사 불참은 별다른 이유가 있다기보다 그동안 관련 행사에 많이 참석해왔기 때문”이라며 “이낙연 국무총리가 대신 참석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났었다.

◆ 임정수립 기념식 불참… 4·19 기념식도 불투명
세월호 참사는 보수-진보 진영 사이에 많은 갈등이 빚어졌던 대표적 이슈 중 하나다. 청와대는 직접적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대통령 일정에서 제외한 배경에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갈등이 재연될 소지를 차단하려는 의지도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기념식도 마찬가지였다.
문 대통령은 이 행사에 참석하지 않고 이 총리를 보냈다. 임시정부도 건국일 논란과 함께 이념 논쟁의 소재가 되곤 했다. 정치권은 건국일 기준을 두고 팽팽히 맞서 있는 상황이다. 보수진영은 대한민국 정부수립일인 1948년을, 진보진영은 임시정부 수립일인 1919년을 건국 기준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한다.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을 일주일 앞두고 열리는 4·19 혁명 기념식에도 불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남북정상회담 온라인 플랫폼 구축… 표어는 “평화, 새로운 시작”
2018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는 27일 남북정상회담을 전후해 각종 속보를 실시간으로 국민에게 전달하고 관련 자료를 아카이브로 제공하는 ‘2018 남북정상회담 온라인 플랫폼’(www.koreasummit.kr)을 17일 낮 12시에 공개한다. 또 이번 정상회담의 표어를 “평화, 새로운 시작”으로 확정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때는 언론사 자료 제공 목적의 홈페이지와 정부 사이트 내 특집 페이지를 구축했었다. 국민과 소통하는 남북정상회담 온라인 플랫폼을 개설하기는 처음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의 코리아넷(http://www.korea.net/)과 연결해 영어, 중국어, 아랍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 9개국 언어로 주요 내용을 해외 언론 등에 제공하게 된다.
준비위는 2018 남북정상회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2000년, 2007년 남북정상회담의 역사와 의의를 되짚어 보고 2018 남북정상회담의 진행 상황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동시에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민의 열망도 함께 담아내려 한다고 설명했다.
윤영찬 준비위 소통홍보분과위원장은 “남북정상회담과 이어지는 북미 정상회담 등 한반도에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더 많은 국민의 관심과 참여,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해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플랫폼은 ‘뉴스룸’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2000·2007 정상회담’ ‘교류와 협력의 한반도’ ‘국민과 함께’ 등 5개의 큰 메뉴와 19개의 세부 메뉴로 구성됐다. 반응형 웹으로 PC와 모바일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뉴스룸’을 통해 27일 남북정상회담 당일 배포되는 모든 사진과 브리핑, 온라인 생중계 영상 등이 실시간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국민과 함께’ 메뉴에는 유명 인사와 일반 국민들의 ‘평화 영상 릴레이’와 함께 평화를 주제로 한 SNS 해쉬태그 이벤트, 평화지수를 알아보는 퀴즈 등 국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문재인의 한반도정책’에서는 ‘한반도 평화구상’을 밝힌 독일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 영상과 함께 평화 체제를 위한 노력을 토대로 한반도 정책을 살펴 볼 수 있다. ‘2000·2007 정상회담’ 에는 과거 두 차례 열린 정상회담의 의의와 역사적 기억을 되새겨 볼 수 있는 자료들이 담긴다. ‘교류와 협력의 한반도’에는 과거 영상 22개를 비롯해 역사적 사진 119장을 통해 남북교류의 역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윤영찬 위원장은 “온라인 플랫폼은 과거 정상회담과 이번 회담을 잇는 소중한 역사적 기록이 될 것”이라며, “모든 과정을 공개해 국민과 함께 ‘평화 한반도’를 만들어 가는 소통의 창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평화의 봄꽃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활짝 피어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