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측 예술단 윤상 음악감독이 9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평양 공연의 뒷이야기를 전했다.
윤 감독은 “눈을 감으면 꿈을 꾼 기분”이라며 “아직도 그렇다. 내가 원한다고 갈 수 있는 곳이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에 도착하고 5일 방송까지 작업실에 계속 있었다”면서 “그래야 끝난 느낌이 날 것 같았다”고 전했다.
수석대표를 맡은 것에 대해 윤 감독은 “처음 음악감독 역할만 얘기를 했으면 마음이 무겁지 않았을 것”이라며 “누군가는 이 역할을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수락을 했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 삼지연관현악단과의 합주가 불발된 데 대해 아쉬움도 나타냈다. 그는 “하루 이틀 안에 편곡을 해야했다”면서 “‘다시 만나요’와 ‘우리의 소원’ 같은 곡을 우리측의 편곡에 삼지연관현악단이 연주했으면 하는 게 욕심이었는데 기간이 빠듯해 무산됐다”고 말했다.

윤 감독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했던 무대는 레드벨벳의 ‘빨간 맛’. 그는 “레드벨벳이 ‘빨간 맛’ 무대를 할 때 사실 우리도 긴장을 했다”며 “내가 북한 측의 표정을 읽을 수 없었다. 그러나 무대 위 레드벨벳의 표정을 보니 나쁜 것 같지 않았다”고 말했다. 손석희 앵커는 “처음 레드벨벳이 간다고 했을 때 레드벨벳의 팀명으로도 이야기가 있었다”고 거들었다.
현송월 북한 삼지연 관현악단장에 대한 관심도 나타냈다. 그는 “(현송월이) 어렸을 때부터 영재교육을 받았다고 들었다. 가수뿐 아니라 피아노 연주도 하고 못 하는 악기가 없다고 들었다”며 “퍼포머로서의 역할과 모든 음악을 다 이해한다 그렇게 이해했다”고 평가했다.
김광민과 정인의 오프닝 무대가 멜로디 없이 시작된 것에 대해 윤 감독은 “첫 곡만큼은 언어가 필요하지 않는 선에서 무대를 꾸미고 싶었다. 멜로디와 선율로 공감할 수 있게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울에서 ‘가을이 왔다’는 이름으로 공연을 하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해 윤 감독은 “정말 북측 공연단이 서울에서 공연을 한다면 이번과는 또다른 분위기에서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 같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