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민아파트 반대’ 영등포구 한 단지의 씁쓸한 안내문

Է:2018-04-08 05:00
ϱ
ũ


서울시가 추진하는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 대한 인근 아파트 단지의 님비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일부 아파트들은 “빈민주택을 반대한다”고 집단 행동에 나섰다. 이를 반대하는 주민들까지 나서 주민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영등포구 소재의 아파트단지 주변에 청년임대주택사업이 시행되는 것을 막자는 내용의 아파트 내 안내문이 퍼졌다. 기업형 임대아파트 반대 비상대책위원회 명의의 안내문에는 청년주택을 ‘5평짜리 빈민 아파트’로 명시해놨다.

위원회는 "우리 아파트 옆 OO부지에 청년임대주택이란 미명 하에 70% 이상이 1인 거주인 5평짜리 빈민아파트를 신축하는 절차를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다"며 "이런 주택이 허가되고 신축되면 우리 아파트는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아파트 가격 폭락 교통 문제 조망권·일조권 훼손 빈민 지역 슬럼화 우범지역화 등 피해를 볼 수 있다고 했다. 또 연약 지반에 지하 6층 깊이까지 뚫으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 안내문에는 위원회의 주장에 반대하는 주장도 손글씨로 적혔다. 한 주민은 “억지입니다. 공존하며 사는 것이 마땅하지 부끄러운 줄 아세요”라고 비판했다.



이 안내문은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로 퍼지면서 논란을 낳고 있다. “청년세대 주거 환경을 개선해 주지는 못할망정, 기성세대가 끝없이 욕심을 부린다”는 식의 비판이 많았다.

서울시는 영등포구청역 인근에 지하 5층∼지상 19층 건물 2개 동을 신축해 역세권 청년주택으로 운영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마포구 창전동과 신림역 등에서도 비슷한 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 역시 인근 주민들의 반대에 몸살을 앓고 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민간 사업자에 건물 용적률 완화, 세금 감면 등 혜택을 주면 민간 사업자는 공공 및 민간임대주택을 지어 청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 정책이다. 서울시는 이들 임대주택의 10∼25%를 기부채납 방식으로 확보해 주변 시세보다 수준으로 청년층에게 임대한다. 서울시는 2022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을 8만호 공급할 계획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신은정 기자 se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