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 의혹’은 참사 발생 4년 가까이 풀리지 않던 미스터리였다. ‘정윤회씨와 함께 있었다’는 루머부터 ‘강남 차움병원에서 마사지를 받았다’ ‘최순실씨와 굿판을 벌였다’는 말까지 이런저런 추측만 떠돌았다.
세월호 7시간 의혹은 2014년 7월 7일 국회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이 집무실에 있었느냐’는 박영선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의 질의에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그 위치에 대해선 제가 알지 못합니다”라고 답하면서였다.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비서실장이 대통령의 위치조차 몰랐다는 답변에 정치권과 증권가를 중심으로 빠르게 루머가 퍼졌다. 일본 산케이신문 가토 다쓰야 서울지국장은 이런 상황을 정리해 ‘박근혜 대통령 여객선 침몰 당일 행방불명…누구와 만났을까’라는 칼럼을 게재했다. 당시 세월호 7시간 의혹의 중심은 정씨였다.
청와대는 발끈했다.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입에 담기도 부끄러운 것을 기사로 썼다”고 반발했다. 보수단체는 가토 지국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가토 지국장에 대해 법원은 “‘박 전 대통령과 정씨가 긴밀한 남녀관계였다’라는 건 허위사실”이라며 “정씨 휴대전화 발신지 추적 결과 등을 봐도 두 사람이 당시 함께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가토 지국장에겐 “대통령이란 ‘공적 사안’에 대해서는 언론 자유가 인정된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처벌받는 이 없이 수사기관이 박 전 대통령 밀회설을 부인해 준 모양새가 됐고 세월호 7시간 의혹도 가라앉는 듯했다.
2016년 하반기 비선실세 최씨의 국정농단이 드러나면서 의혹은 재부상했다. 최씨가 박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개입한 사실이 밝혀지자 ‘박 전 대통령이 기 치료를 받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소문이 돌았다.
이후 꾸려진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이영선 전 청와대 행정관부터 속칭 ‘주사 아줌마’까지 관련자들을 집중 조사했다. 헌법재판소도 박 전 대통령 탄핵심판 대리인 측에게 “7시간 행적을 밝히라”고 주문했다. 하지만 특검팀은 청와대의 압수수색 거부 등 장애물에 막혀 수사를 끝내지 못했다. 헌재도 박 전 대통령 측의 부실한 자료 제출로 어려움을 겪었다.
검찰이 28일 “박 전 대통령과 최씨가 세월호 참사 당일 만났다”는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세월호 7시간 의혹은 실체적 진실에 한 발 다가서게 됐다. 검찰 관계자는 “이제 다른 음모론이 개입될 여지는 없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양민철 신훈 기자 liste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