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졌다. 10년 만의 ‘금리 역전’이다. 우려와 달리 외국 자본이 한국 시장을 빠져나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 다만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오를 것으로 보인다. 145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2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취임 후 첫 인상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범위는 1.50∼1.75%로 한국은행 기준금리(1.50%)를 넘어섰다. 2007년 8월 이후 10년7개월 만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22일 오전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의 시장금리 상승은 불가피해졌다. 금융권에서는 신규 택담보대출(고정금리)의 경우 연말에 금리가 연 6% 수준까지 치솟을 것으로 관측한다.
지난해부터 한국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아 오르고 있다. 은행권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은행의 자본조달 비용을 반영한 금리)는 줄곧 상승했다. 은행연합회가 지난 15일 공시한 2월 잔액 기준 코픽스는 1.75%로 6개월 연속 뛰었다. 지난해 최저점(6월의 1.58%)과 비교하면 0.17% 포인트나 높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산정 기준이 되는 금융채 AAA등급 5년물 금리도 지난해 초 2.0% 안팎에서 올해 2.7% 수준까지 치솟았다.
이에 따라 가계의 ‘빚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0.5% 포인트 오르면 고위험 가구의 금융 부채가 4조7000억원 늘어난다고 추산한다. 가계부채의 70%가량은 변동금리 대출이라 금리 인상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그나마 다행은 금리 역전에도 불구하고 외국 자본 유출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지난달 외국인의 한국 채권 순투자가 2조8300억원 증가하는 등 외국인들이 중장기 원화채권 보유를 늘리고 있다. 자금 이탈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미국 연준이 세 차례 기준금리를 올렸을 때에도 한국 금융시장에서 외국 자본 유출이 일어나지 않았던 점도 긍정적 신호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 금리 상승 속도가 가파를 수 있다. 연준은 내년의 기준금리 인상 횟수 전망을 2회에서 3회로 올리며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에 힘을 싣기도 했다. 금리가 빠르게 오르면 신흥국 등에서 자본 유출이 이뤄지면서 한국의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홍석호 김현길 기자 will@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그래픽=공희정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