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가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 파문에 대해 나흘 만에 입을 열었다.
저커버그는 21일(현지시간) 페이스북을 통해 성명을 내고 “우리는 여러분의 데이터를 보호할 책임이 있으며, 그렇게 할 수 없다면 서비스를 제공할 자격이 없다”면서 “정확하게 어떻게 이런 상황이 발생했고, 다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파문에 대한 실수를 인정한 것이다.
그러면서 데이터 업체인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와 앱 개발자인 알렉산드르 코건이 페이스북과의 신뢰를 저버린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코건은 2013년 개인 성향을 파악하는 퀴즈 앱을 제작했다. 당시 약 30만명 정도가 이 앱을 설치했으며, 페이스북 플랫폼에서는 이 30만명의 친구 수천만명이 정보 접근을 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페이스북이 2014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보 접근권한 축소’ 조치를 하면서 데이터 앱의 자료 접근 범위가 제한됐다. 저커버그는 “그럼에도 2015년 코건이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와 함께 데이터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동의 없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도록 한 페이스북 정책에 어긋난다는 점을 파악했다”며 “이 사실을 공지한 뒤 자료를 삭제하겠다는 약속을 코건과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로부터 받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뉴욕타임스 등 언론 보도를 통해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가 약속을 어기고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는 것이다. 저커버그는 그 즉시 그들의 계정을 중지했다고 덧붙였다. 저커버그는 “페이스북이 정보를 보호할 것이라고 믿고 데이터를 공유한 사용자들의 신뢰가 침해된 것”이라며 재발 방지를 위한 사용자 데이터 보호 3단계 계획을 제시했다.
그는 “2014년 플랫폼 변경 전 많은 양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었던 모든 앱을 조사할 것”이라며 “페이스북은 의심스러운 앱을 심사하고 있으며, 심사받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개발자는 그 어떤 이라도 (접근을)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용자가 3개월간 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개발자의 정보 접근권을 박탈하겠다. 향후 며칠 동안 더 많은 변화를 보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페이스북 뉴스피드 상단에 도구를 만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앱 접근 권한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아울러 저커버그는 “나는 페이스북을 시작했고 결국 우리 플랫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책임져야 한다”며 “우리의 커뮤니티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일을 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외신은 페이스북을 통해 5000만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정보가 영국 정치 컨설팅회사의 손에 들어가 2016년 미국 대선에 활용됐다는 보도도 일파만파로 번졌다. 대선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후보의 핵심 참모였던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 전략가가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의 실질적인 수장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며 의혹에 힘을 실었다.
☞ “담근 술이...” 성관계 없다다던 김흥국 육성파일
☞ [영상] “24살 나이 차보다 충격” 아이유 폭행신
☞ 조민기 사망 전 엄청 퍼졌던 음란 카톡 대화의 실체
문지연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