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가 4월 남북 정상회담과 5월 북·미 정상회담 사이에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을 추진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한·일 및 한·중·일 정상회담을 조기에 개최하자는 데에도 의견을 같이 했다. 5월 중 남북과 미국 일본 중국 등 북핵 문제 당사국 간 연쇄 정상회담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1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35분간 통화하고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준비 등 한반도 정세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는 한반도와 세계 평화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자 과정”이라며 “그 어떤 상황과 조건하에서도 결코 양보할 수 없다는 것이 우리의 확고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면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잘 조성하겠다”며 “과거 실패에서 비롯된 우려도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등 북·미 간 현안도 폭넓게 논의한 뒤 이를 미국에 설명할 방침이다.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위원장인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브리핑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어느 시점에 열릴지는 우리가 결정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그러나 가급적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중간에 핵심 의제를 가지고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또 남북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고위급 회담을 이달 말 개최하자고 북한에 제안하기로 했다. 남북 정상회담의 의제는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 남북 관계의 담대한 진전 3가지로 압축됐다.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의 상설화도 추진될 전망이다. 임 실장은 “판문점 회담 형식이 남북 회담의 새로운 방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거나 김 위원장을 남측으로 초청하는 것에 비해 모든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후 아베 총리와 통화하고 한·일 정상 셔틀외교 차원에서 문 대통령이 조기에 일본을 방문할 수 있도록 실무진 차원에서 날짜를 조율하기로 했다. 아베 총리는 북·일 대화에 대한 기대감도 표시했다.
한편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통상 문제를 두고는 입장 차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통화에서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움직임에 대해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 공조가 얼마나 굳건한지 대외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한국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한국 대표단이 보다 융통성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도록 문 대통령이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