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막은 안구의 뒤쪽 내벽에 벽지처럼 붙어있는 얇은 신경조직으로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위다. 그 중심부에는 빛 자극에 반응하는 시세포가 밀집된 황반이 자리잡고 있는데, 빛이 들어와 황반에 맺히게 되면 뚜렷한 형체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황반에 이상이 생기면, 물체가 크게 보이거나 작게 보이거나, 직선이 휘어져 보이는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하면 중심시력이 저하되는 증상을 나타나게 된다. 특히 멀쩡하던 시야가 갑자기 흐려져 사물형체가 왜곡돼 보이거나 책이나 신문을 읽을 때 글자에 구멍 같은 빈 공간이 보인다면 ‘황반원공’을 의심 할 수 있다.
황반원공은 망막질환 중 하나로 망막 중심부에 시세포가 밀집된 황반에 구멍이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주로 노화로 인해 60세이상의 노년층에서 잘 나타나며, 눈에 외상을 입거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에서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고도근시의 경우도 발병확률이 높고 남성보다는 여성 환자가 더 많다고 한다.
압구정성모안과 임수진 원장은 “황반에 구멍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유리체가 노화로 응축되면서 황반부를 잡아당겨 유리체황반부 견인이 발생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망막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길 수 있다. 또 유리체가 완전히 망막에서 분리되지 못하면 지속적으로 황반 주변부에 유리체 견인력이 발생하는데 이 견일력에 의해서도 황반원공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황반원공은 단순한 노안으로 생각해 치료시기를 놓치면 영구적인 시력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구멍이 커져 시야 결손이 심해지면 시세포에도 영향을 끼쳐 치료 결과를 나쁘게 하므로, 빠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초기 단계에 황반원공은 망막에 후유리체 피질이 분리되며 자연스럽게 회복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증상이 많이 진행 된 상태라면, 황반부를 잡아당기는 유리체를 제거하는 유리체 절제술과 가스충전술이 필요하다.
임 원장은 “가스충전술은 눈 속에 특수가스를 주입하여 황반원공 부분을 눌러주어 황반에 뚫린 구멍을 닫아 복원하는 방법이다. 수술 후에는 약 1주간 머리 뒷부분이 하늘을 향하게 하는 자세를 유지하여 황반부분에 가스가 잘 위치하게 하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전한다.
이어 “황반원공은 한 쪽 눈에 나타나면 다른 눈에도 발병 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평소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받는 것이 좋으며,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찾아 정밀망막검사를 받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