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 달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일본인 납북 문제 해결에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북미 정상회담이 5월로 잡히자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황급히 잡아둔 상태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지난주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일본인) 납치자 문제를 특별히 당부했다”면서 “북‧미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를) 확실하게 다룰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히 연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은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아베 총리를 예방하는 것과 관련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서 원장을 통해 일본에 어떤 메시지를 전할지 주목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청와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일본을 위한 별도 메시지를 준비했다”며 “일본인 납치 문제와 2002년 북‧일 평양선언 이행 등 북‧일 관계 문제를 설명할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김 위원장이 한국 특사단에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하는 비공개 메시지를 전달한 만큼 중국과 일본 정상에게도 별도의 메시지를 준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앞서 일본은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에 응할 경우 일본이 사찰 인원과 기자재 조달에 필요한 초기 비용 3억엔(약 30억원)을 부담하겠다고 나섰다. 교도통신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드러낸 것과 관련,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의 이런 입장은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 일본이 배제되는 ‘재팬 패싱’에 대한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북한의 비핵화 논의 과정에서 목소리를 높이기 위해 일찌감치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교도통신은 “한국과 미국이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것에 비해 뒤처진 일본이 비핵화에 공헌하는 자세를 보여 존재감을 발휘하려는 것”이라며 “북한에 핵 포기와 관련한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도록 압박하겠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2009년 IAEA 감시요원을 추방한 뒤 핵사찰을 받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는 우라늄 농축 공장과 원자로,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공장 등이 있는 영변의 핵시설을 염두에 두고 비용 부담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변 핵시설의 초기 사찰 비용으로는 3억5000만∼4억엔(약 35억∼4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