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한·미 훈련은 협상카드 아닌 대응책”

Է:2018-03-02 21:30
ϱ
ũ

정부가 먼저 재연기·축소 등 北·美에 제시하지 않을 듯… 대북 특사 9일 이전 파견


청와대가 “(한·미 연합 군사훈련 연기·축소 문제는) 협상용 카드가 아니라 상황 변화에 따른 대응책”이라며 “특별한 사정 변화가 없다면 그대로 진행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한·미 연합 군사훈련은 국민적 공감대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가 북한에 협상용으로 제시할 카드가 아니다”며 “국민들이 공감할 만한 상황 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예정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연기할 수 있었던 것 역시 국민들의 동의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재연기·축소 여부도 북한과 미국의 입장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정부가 먼저 한·미 연합 군사훈련 재연기·축소 카드를 미국이나 북한에 제시할 생각이 없다는 의미다. 다만 대북 특사 등을 통해 비핵화 대화를 위한 북한과 미국 간 접점을 이끌어낼 수 있다면 한·미 연합 군사훈련 재연기·축소 문제를 다룰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가진 한 방송 인터뷰에서 독수리(FE) 훈련은 조정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주한 미국대사관이 연합 군사연습에는 추가 연기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연습’이 아닌 연합 군사 ‘훈련’에 대해서는 일정 정도 조정의 여지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위주의 지휘소 연습(CPX)인 키리졸브는 예정대로 하되 대규모 병력을 운용하는 야외 기동훈련(FTX)인 독수리 훈련은 규모와 시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

문 특보는 북·미 대화에 대해서도 “개인적으로 어떤 전제조건도 없이 대화하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며 “미국도 그런 결론에 도달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평창패럴림픽 개막식이 열리는 오는 9일 이전에 대북 특사를 파견할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달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 재개되는 탓에 북한을 설득할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조만간 특사를 파견할 예정이다. (파견까지) 아주 길지는 않을 것”이라며 “북한을 설득할 기한은 3월이 마지노선”이라고 말했다.

대북 특사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비핵화 입장 표명 및 북·미 대화 필요성을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또 남북 정상회담 등 남북 간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추후 대북 특사 파견 결과를 설명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