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겨울 대형 화재사고가 끊이지 않았지만 안전불감증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형 참사에도 불구하고 전국 찜질방 31% 이상이 소방안전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영업 중이었다. 여전히 비상구는 폐쇄되어 있었다.
소방청이 작년 12월 26일부터 올해 1월 15일까지 전국 찜질방 6474곳을 대상으로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했다. 그 중 31.6%에 달하는 2045곳이 소방안전시설 불량업소로 평가됐다.
비상구 앞 장애물 방치나 잠금행위, 유도등 점등 불량·미설치 등 피난설비 불량이 2364건으로 드러났다. 전체 지적사항 5704건 중 41.4%에 달하는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제천 화재참사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던 비상구 앞 장애물 적치, 비상구 잠금행위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나 사회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설비 불량도 만만찮았다. 소화기 노후나 미비치, 감지기 작동불량, 소화펌프 작동불량 등 소화설비 문제가 1337건(23.4%) 지적됐다. 이밖에 발신기 작동불량, 감지기 회로 단선, 수신기 예비전원 불량 등 경보설비의 경우 1322건(23.2%)이 불량이었다.
소방청은 피난유도등 미설치, 방화셔터 작동 불량 등 1954건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리는 한편 비상구 폐쇄 및 방화문 제거 등 220건에는 과태료를 부과했다. 불법 증축 및 공간 임의구획 등 309건에 대해서는 해당 기관에 통보해 시정조치가 이뤄지도록 했다.
조종묵 소방청장은 “일회성 조사가 되지 않도록 조치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면서 “화재로부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소방청은 이번 특별조사에서 건의된 제도개선 과제를 검토해 종합 개선대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