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바른=미래당… 통합신당 당명 확정

Է:2018-02-02 16:42
:2018-02-02 16:46
ϱ
ũ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2일 통합신당의 당명을 '미래당'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양당 통합추진위원회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제3차 전체회의를 열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유의동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100년 이상 가는 굳건한 정당을 만들겠다는 다짐을 담아 당명을 미래당으로 결정했다"며 "앞으로 저희 당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끌어간다는 취지를 담았다"고 말했다.

통합신당 당명의 최종 후보는 ‘바른국민’과 ‘미래당’이었다. '다함께미래로' '행복한미래'도 후보군에 있었지만 최종 단계에서 배제됐다. 지난달 진행된 당명 공모에서 가장 많이 나온 명칭은 ‘바른국민당’(5.2%)이었다. 이어 ‘바른국민의당’ ‘국민정당’ ‘국민통합당’ ‘미래혁신당’이 뒤를 이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사이에는 당명을 놓고 물밑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바른국민'에 대해 "국민을 계도하는 듯하다"는 반론이 나왔고, '미래당'은 "특정인을 상징하는 이름"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유승민 대표 측은 ’바른국민’을, 안철수 대표 측은 ‘미래당’을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통추위는 당초 지난 1일 당명을 정할 예정이었다. 기획조정분과는 '행복한 미래' '다함께 미래로' '미래당' 등을 후보로 추천했다. 당명 공모에서 1위를 차지한 '바른국민당'은 후보에서 제외된 채 보고됐다. 그러자 반발이 제기됐다. 1위를 차지한 당명을 제외할 거면 대국민 공모는 왜 했느냐는 거였다.


결국 ‘바른국민당’도 후보에 올랐는데, 약칭 '바국당'으로 불릴 수 있어 어감이 좋지 않다는 지적에 따라 ‘바른국민’이 후보가 됐다. 이후 '바른국민' '행복한 미래' '다함께 미래로' '미래당' 등을 놓고 토론을 벌어졌고, '행복한 미래'의 경우 “드라마 제목 같다”, '다함께 미래로'는 “건배사로 들린다”, ‘미래당’은 “빵집 이름 같다”는 의견이 나왔다.

결국 표결 끝에 '바른국민'과 '미래당'이 최종 후보로 추려졌고, 이중 ‘미래당’이 통합신당 당명으로 선택됐다.


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가 참석한 통합추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두 당명에 대해선 안 대표와 유 대표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안 대표는 '미래당'을, 유 대표는 '바른국민'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국민'에 대해선 "바르지 않은 국민도 있나, 국민을 계도의 대상으로 여기는 듯한 오해를 살 수 있다"며 강한 반대론이 제기됐다. 반면 반대측은 "바른국민에는 유 대표와 안 대표의 이미지가 결합해 녹아 있으며, 기억하고 알리기 쉽다"며 추천하고 있다.

'미래당'에 대해서 역시 "안 대표만을 상징한다"며 강한 반감이 제기됐다. '미래'라는 단어의 출처가 지난해 12월 출범한 안 대표의 정책자문 그룹인 '싱크탱크 미래'에서 따왔다는 것이다.

국민의당 측에서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연상시킨다"는 반대론이 나왔다. 박 전 대통령이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했고, 재임 당시 정부 부처 이름으로 '미래창조과학부'를 쓰는 등 유독 '미래'를 선호했다는 지적이다.

회의석상에서와 달리 물밑에선 신경전이 거세지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미래당'을 지지하는 안 대표 측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바른국민'이 두 인물을 상징한다고 하나, 유권자에겐 '기호 3번'으로 충분하다"며 "굳이 과거 당명을 넣자면 '국민바른연대’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국민'이 앞에 등장하는 방식이다. 의석수가 더 많은 국민의당이 소수인 바른정당보다 뒤에 나오는 ‘바른국민’에 대한 반감이 읽히는 대목이다.

'바른국민'을 지지하는 유 대표 측도 반발하는 분위기다. "미래당처럼 특정 인사를 연상시키는 이름으로 결정될 경우 사당화(私黨化) 논란이 재연돼 초반 통합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라고 경고했다.

자칫 첨예한 갈등양상으로 흐를 우려가 나오면서, "무엇이 두 당의 결합을 상징하는 당명으로 좋은지 여론조사로 결정하자"는 중재안도 제시됐다. 한 차례 더 신당(新黨)을 홍보할 기회도 된다는 것이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