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교수 최소 6명 ‘논문에 자녀 끼워넣기’ 조사 피해갔다

Է:2018-01-29 23:47
:2018-01-29 23:57
ϱ
ũ

교육부 전수조사 82건 ‘빙산의 일각’ 우려 커져

대부분 학교에 자진신고 안해

대학도 신고내용 제출 않거나

아예 조사 외면… 총 15건 누락


교육부가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성년 자녀 논문 공저자 등록 실태’ 전수조사에서 최소 6명의 교수가 누락된 것으로 29일 확인됐다.

해당 교수들은 대부분 대학에 자진신고하지 않았고, 학교 측도 조사에 나서지 않아 교육부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교수가 신고한 사항을 학교 차원에서 교육부에 제출하지 않은 사례도 드러났다. 교육부가 발표한 미성년 자녀 저자 끼워넣기 사례 82건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지적에 힘이 실린다.

국민일보는 지난해 12월 자신의 논문에 자녀 이름을 올린 교수 18명을 확인해 보도했다(국민일보 2017년 12월 5일자 1면·12월 8일자 1면 참조). 그러나 이들 가운데 서울대 충남대 아주대 포항공대 교수 각 1명은 교육부 전수조사 때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

서울대 A교수는 2008∼2010년 4편의 SCI급 논문에 고등학생 딸의 이름을 올렸지만 이를 학교에 알리지 않았고, 서울대는 A교수 사례를 제외한 6건의 사례만 제출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각 단과대에서 교수에게 ‘해당 사항이 있으면 자료를 제출하라’고 공지했다”며 “총 3명만 자진신고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대학은 ‘해당 사항이 없다’고 교육부에 답신했다. 충남대 B교수는 2011년 자녀와 함께 논문을 썼지만 이번 조사에서 빠졌다. B교수는 “급이 낮은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이라 조사 대상이 아닌 줄 알았다”며 “교육부에 추가로 제출하겠다”고 해명했다.

아주대 C교수는 “총장께 말씀드렸더니 ‘알아서 하겠다’고 하셨다”며 “일부러 감춘 것은 아니다”고 했다. 아주대 측은 “내용을 알고 있었던 것은 맞지만 이전에 근무하던 대학에서 있었던 일이라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걸로 이해했다”고 해명했다. 포항공대 D교수도 “학교 측에서 내용을 알고 있었지만 따로 자료를 제출하라고 한 건 없었다”고 주장했다. 학교 관계자는 “우리 대학에 있을 때 쓴 논문이 아니어서 찾을 수 없었다”고 했다.

이들 교수 외에 국민일보가 추가로 확인한 안동대 교수 1명과 전주교대 교수 1명도 교육부 조사 결과에는 없었다. 이들 6명의 교수가 자녀와 함께 이름을 올린 사례는 모두 15건이다.

이재연 기자 jay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