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의 영화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이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 최다 노미네이트됐다. 기대를 모았던 봉준호 감독의 ‘옥자’는 시각효과상 최종후보에 들지 못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는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 전 부문(24개) 후보자(작)를 발표했다. ‘셰이프 오브 워터’는 작품상과 감독상을 비롯해 여우주연상(샐리 호킨스) 남우조연상(리차드 젠킨스) 등 최다 부문(13개) 후보에 올랐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덩케르크’는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등 8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며 그 뒤를 이었다. 골든글로브 드라마 부문 최우수작품상 수상작인 마틴 맥도나 감독의 ‘쓰리 빌보드’는 7개 부문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다키스트 아워’ ‘팬텀 스레드’는 6개 부문, ‘블레이드 러너 2049’ ‘레이디 버드’는 5개 부문,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는 4개 부문 후보에 들었다.
올해 작품상은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다키스트 아워’ ‘덩케르크’ ‘겟 아웃’ ‘레이디 버드’ ‘팬텀 스레드’ ‘더 포스트’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쓰리 빌보드’ 9개 작품이 경합한다.
한국감독이 만든 영화 최초로 아카데미 시각효과상 예비후보에 올랐던 ‘옥자’의 최종후보 진출은 불발됐다. 시각효과상 후보에는 ‘블레이드러너2049’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콩: 스컬 아일랜드’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워 포더 플래닛 오브 디 에이프’ 5개 작품이 포함됐다.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은 오는 3월 4일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극장에서 열린다.

다음은 제90회 아카데미 전체 후보자(작).
▲작품상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다키스트 아워’/ ‘덩케르크’/ ‘겟 아웃’/ ‘레이디 버드’/ ‘팬텀 스레드’/ ‘더 포스트’/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쓰리 빌보드’
▲감독상
크리스토퍼 놀란(‘덩케르크’)/ 조던 필레(‘겟 아웃’)/ 그레다 거윅(‘레이디 버드’)/ 폴 토마스 앤더슨(‘팬텀 스레드’)/ 기예르모 델 토로(‘셰이프 오브 러브: 사랑의 모양’)
▲남우주연상
티모시 찰라멧(‘콜 미 바이 유어 네임’)/ 다니엘 데이 루이스(‘팬텀 스레드’)/ 다니엘 칼루야(‘겟 아웃’)/ 게리 올드만(‘다키스트 아워’)/ 덴젤 워싱턴(‘이너 시티’)
▲여우주연상
샐리 호킨스(‘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프란시스 맥도맨드(‘쓰리 빌보드’)/ 마고 로비(‘아이 타냐’)/ 시얼샤 로넌(‘레이디 버드’)/ 메릴 스트립(‘더 포스트’)
▲남우조연상
월렘 대포(‘플로리다 프로젝트’)/ 우디 해럴슨(‘쓰리 빌보드’)/ 리처드 젠킨슨(‘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크리스토퍼 플러머(‘올 더 머니’)/ 샘 록웰(‘쓰리 빌보드’)
▲여우조연상
메리 J. 블라이즈(‘머드바운드’)/ 앨리슨 제니(‘아이 토냐’)/ 로리 맷칼프(‘레이디 버드’)/ 레슬리 맨빌(‘팬텀 스레드’)/ 옥타비아 스펜서(‘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각본상
‘더 빅 식’ ‘겟 아웃’ ‘레이디 버드’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쓰리 빌보드’
▲각색상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더 디제스터 아티스트’ ‘로건’ ‘몰리의 게임’ ‘머드바운드’
▲촬영상
‘블레이드 러너 2049’ ‘다키스트 아워’ ‘덩케르크’ ‘머드바운드’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음악상
‘덩케르크’ ‘팬텀 스레드’ ‘셰이프 오브 워터:사랑의 모양’ ‘스타워즈:라스트 제다이’ ‘쓰리 빌보드’
▲미술상
‘미녀와 야수’ ‘블레이드 러너 2049’ ‘다키스트 아워’ ‘덩케르크’ ‘셰이프 오브 워터:사랑의 모양’
▲의상상
‘미녀와 야수’ ‘다키스트 아워’ ‘팬텀 스레드’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빅토리아 & 압둘’
▲분장상
‘다키스트 아워’ ‘빅토리아&압둘’ ‘원더’
▲편집상
‘베이비 드라이버’ ‘덩케르크’ ‘아이 타냐’ ‘셰이프 오브 워터:사랑의 모양’ ‘쓰리 빌보드’
▲음향편집상
‘베이비 드라이버’ ‘블레이드 러너 2049’ ‘덩케르크’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음향믹싱상
‘베이비 드라이버’ ‘블레이드 러너 2049’ ‘덩케르크’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시각효과상
‘블레이드 러너 2049’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콩: 스컬 아일랜드’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워 포더 플래닛 오브 디 에이프’
▲외국어영화상
‘판타스틱 우먼’(칠레) ‘인설트’(레바논) ‘러브리스’(러시아) ‘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헝가리) ‘더 스퀘어’(스웨덴)
▲주제가상
‘Mighty River’(‘머드바운드’)
‘Mystery of Love’(‘콜 미 바이 유어 네임’)
‘Remember Me’(‘코코’)
‘Stand Up for Something’(‘마셜’)
‘This Is Me’(‘위대한 쇼맨’)
▲장편애니메이션작품상
‘보스 베이비’ ‘더 브레드 위너’ ‘코코’ ‘페르디난드’ ‘러빙 빈센트’
▲단편애니메이션작품상
‘Dear Basketball’ ‘Garden Party’ ‘Lou’ ‘Negative Space’ ‘Revolting Rhymes’
▲장편다큐멘터리상
‘아바쿠스: 감옥에 가기엔 너무 사소한’ ‘페이시스 플레이시스’ ‘이카로스’ ‘라스트맨 인 알레포’ ‘스트롱 아일랜드’
▲단편다큐멘터리상
‘Edith+Eddie’ ‘Heaven is a Traffic Jam on the 405’ ‘Heroin(e)’ ‘Knife Skills’ ‘Traffic Stop’
▲단편영화작품상
‘DeKalb Elementary’ ‘The Eleven O’Clock’ ‘My Nephew Emmett’ ‘The Silent Child’ ‘Watu Wote/All of Us’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8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