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직장 여성 연간 유산율이 23%에 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일하지 않는 여성 유산율과 비교할 때 1.3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직장 내 스트레스가 유산위험을 높이는 주요인이라는 분석이다.
15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최근호에 따르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김은아 직업건강연구실장(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연구팀은 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직장가입자와 피부양자(전업주부 등)로 각각 등록된 여성의 임신(43만343건)과 출산(34만88건) 데이터를 분석했다.
여성 근로자(직장가입자) 연간 유산율은 23.0%로 비근로 여성(피부양자)의 19.1%보다 3.9% 포인트 더 높았다. 전체 유산(인공유산, 치료유산 제외) 위험도는 근로 여성이 비근로 여성의 1.26배였다. 절박유산(임신 20주 이전 질에서 출혈이 발생해 생기는 유산)의 경우 근로 여성 위험도가 1.38배에 달했다. 조산 위험과 태아발육부전 위험도 역시 각각 1.1배, 1.19배였다.
산업별 유산 위험은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여성이 1.47배로 가장 높았다. 육체노동과 불규칙한 근무시간, 여러 화학물질 노출 등이 안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 ▲제조업 1.35배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료인 포함) 1.33배 ▲도소매업과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실험실 근로자) 1.29배 등이었다.
육체적으로 해를 입는 근무조건만이 유산을 부르는 요인은 아니다. 화학물질을 쓸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고 비교적 근무시간도 규칙적인 교육서비스업과 금융업 종사 여성도 비근로 여성보다 유산 위험도가 각각 1.12배, 1.18배 높았다. 즉 여성이 ‘직장을 다니는 것 자체’가 유산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김은아 실장은 “이번 연구는 업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하는 것만으로도 임신과 출산에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을 보여준다”면서 “갈수록 출산율이 낮아지는 상황에서 모성보호시간 등을 통한 근로시간 단축이 여성근로자의 임신 및 출산 관련 생식보건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간접근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